악몽 안 꾸는 법 없을까요? 악몽 원인 왜 그런가요?

2023.03.10

악몽 안 꾸는 법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어린애도 아니고 악몽 때문에 고민인데요 악몽 안 꾸는 법 없을까요? 악몽 때문에 잠을 많이 설칩니다. 가위눌림도 심하고요.. 스트레스 때문인지 모르겠네요 악몽 원인 궁금하고.. 악몽 안 꾸는 법 알고 싶습니다
  • #악몽
  • #악몽원인
  • #악몽안꾸는법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신홍범입니다.

수면클리닉 진료를 하다 보면요. 밤에는 악몽을 꾸고 잠이 깊지 않고

또 낮에는 너무 졸리고 그래서 하루 두 시간 낮잠을 주무신다고 호소하시고

수면클리닉을 방문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정리하면 밤에는 불면증 같은 증상이 있고요. 낮에는 졸음이 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대개 젊은 분들이 많거든요. 제가 불면증 환자분들도 진료를 많이 보는데요.

대개 한50대, 60대 이런 아주머니들이 많습니다. 여성분들이 많은데

이 경우에는 밤에 잠을 잘 못 들고 잠이 들어도 얕고 물론 악몽을 꿀 수도 있습니다.

낮에 피곤하지만 낮에 잠은 못 잡니다. 그런 아주머니들께서 말씀하시는 게

'저는 낮에라도 잠을 좀 잘 수 있으면 좋겠어요.'

제가 밤에 잠을 이렇게 못 자는데 낮에도 못 자니까

정말 건강이 너무 나빠지는 것 같아요'라고 걱정을 하십니다.

저도 충분히 공감하고 이런 분들 중에는 어쩔 수 없이 수면제를 드시는 분들도 있고

수면제를 끊겠다는 생각에서 수면클리닉을 방문하시기도 합니다.

한편 밤에 잠을 깊게 못 자는데 낮에 많이 졸려서 한두 시간도 잡니다라고 하는 분들은

조금 전에 말씀드렸던 한50대 아주머니하고는 좀 양상이 다르죠.

대개 젊은 분들이 많은데요. 이런 경우에는 여러 가지 수면 질환을 생각을 해야지 됩니다.

일단은 수면의 리듬이 좋지 않습니다.

밤에는 깊게 잠을 자야 되고 낮에는 깨어있어야 되는 게 일반적인데

지금 말씀드리는 경우에는 야간 수면의 질은 떨어져 있습니다.

한편 낮에는 각성도가 또 떨어져 있죠.

그러니까 졸리죠. 잠을 자는 거죠. 어떻게 보면 수면리듬의 균형,

수면리듬이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럴 경우에 일차적으로 해야 될 것은 수면 각성 리듬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즉, 밤에는 잠을 깊게 자고 낮에는 깨어 있도록 해야 되는 거죠.

당연히 그렇게 되면 좋겠죠. 누가 그렇게 생각하지 않겠어요.

근데 이걸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이냐.

그 첫걸음이 낮 동안의 낮잠을 줄여보는 겁니다.

왜 그렇게 되냐면 밤에 악몽을 안 꾸고 싶어도 잠을 깊게 자고 싶어도 의지로 할 수가 없어요.

한편 낮에 졸음이 있을 때는 내가 졸음을 참고 견딜 수 있습니다.

낮에 너무 졸리면 밖에 나가서 걸어 다닐 수 있어요.

걸어다니면서 잠을 자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낮에 너무 낮잠이 있어서 힘든 경우에는

아침에 카페인을 섭취하는 걸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형태로 우리가 접근을 해 나갈 수 있죠.

그렇게 유지를 했을 때 낮 동안의 졸음, 낮 졸음이

잠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그 낮 졸음이 밤으로 가게 됩니다.

그래서 밤에 잠을 깊게 자고 낮에는 깨어있게 되고 이런 형태로 정리가 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은 간단해 보이고 어떻게 보면은 인지행동치료에서도 얘기하는

수면 각성 리듬을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되면 참 좋겠죠.

그래서 그 증상이 심하지 않고

특히 밤에 수면의 질이 좀 떨어져 있고 그러나 수면무호흡증이라든지 하지불안증 같은

심각한 수면 질환이 없고 낮 동안의 졸음이 있는 경우는 낮잠을 줄여보시라고 권합니다.

활동적으로 지내보시라고 권하고 아침에 카페인 음료를 한번 섭취해 보시라고 권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1~2주 그런 노력을 했는데도 해결이 되지 않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다른 생각을 해야 됩니다.

그중에 하나가 뭐냐면 낮에 심한 졸음을 동반하는 질환인 기면증입니다.

기면증이 있는 경우에는요. 낮에 졸립니다. 그런데 밤에 심하게 졸리지 않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의아하게 생각을 하죠.

아니 기면증은 잠을 잘 자고 졸리는 병인데 왜 밤에는 잠이 잘 안온다는 말인가요?

이해가 잘되지 않습니다.

근데 기면증은 낮과 밤, 수면리듬의 조절에 문제가 생긴 질환입니다.

그래서 낮에는 졸리고 밤에는 상대적으로 잠이 안 올 수 있습니다.

악몽을 꾸고 잠꼬대를 하기도 하고, 가위눌림을 경험하기도 하고

잠들 무렵, 잠에서 깰 무렵에 꿈인지 현실인지 분간을 못하는 일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낮 동안 심한 졸음을 지속적으로 호소하시는 분들은 주의 깊게 들어보고

기면증 가능성에 대해서도 검사를 한번 해보십시오라고 제가 얘기를 합니다.

물론 바로 얘기하지는 않지만 여러 가지를 감안해 봐서

그런 정황이 의심이 되면 생각을 해 봅니다. 젊은 분들에서 그렇습니다.

이처럼 야간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낮 동안에 졸음이 있는 경우에

수면 리듬의 문제일 수도 있고 기면증을 포함한 과다수면증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처음에 바로 결론을 내리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한편 이게 수면 질환만이 아닐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냐 하면 우울증이 있는 경우에 이럴 수가 있습니다.

우울증이 있는 분들의 경우에는 야간 수면의 질이 좋지 않습니다. 꿈 수면이 많습니다.

한편 낮 동안의 의욕이 떨어지고 무기력감, 우울감을 느끼고 잠을 자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구분을 짓기가 조금 힘들죠.

그래서 ...가 우울증과 관련된 그런 설문도 같이 해보면 도움이 되는데요.

이런 점을 토대로 우울증으로 인한 수면문제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그래서 수면의학에서 다루는 수면질환 중에 예를 들어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처럼

검사를 해서 명확하게 수치로 얘기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여러 가지 문제가 복합적으로 관여되고 있고 또 수면 검사 결과나

또 다른 검사의 결과를 종합해서 판단해야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수면의 원칙, 수면리듬을 잘 지키고

낮 동안은 활발하게 지내고 밤에는 정적으로 지내야지 야간 수면의 질이 좋아지고

낮 동안에 액티브하게 지낼 수 있다.

활발하게 지낼 수 있다는 원칙은 어느 경우에나 적용됩니다.


2023.03.10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