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치료 후 크라운 꼭 해야되나요? (상동 20대 후반/남 크라운)

2025.04.16

충치가 생겨서 신경치료하고 크라운치료까지 해야된다는데 크라운 치료 꼭 해야되나요? 신경치료만으로는 마무리 못하나요?
  • #크라운치과
  • #부천크라운
  • #상동크라운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치과의사 손용하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신경치료만으로 치료가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닙니다.

특히, 어금니나 씹는 힘이 많이 가해지는 치아는 크라운 치료가 필수에 가깝습니다.


신경치료 과정에서 치아 내부를 비우고 소독하기 때문에 치아가 약해질 가능성이 높고 세균 감염 위험 또한 높습니다.

또, 어금니처럼 씹는 힘이 강한 부위는 치료 후 시간이 지나면서 치아가 쪼개지거나 금이 가는 경우도 많아 치아가 더 이상 손상되지 않도록 크라운을 씌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크라운은 치아의 손상된 부분을 감싸 보호하고 기능 회복을 위해 인공적인 재료로 제작된 보철물로 신경치료 및 크라운 치료시 마취 후 치료가 진행되기 때문에 특별히 통증이 있거나 하지는 않지만 치아의 상태 또는 잇몸의 상태에 따라 통증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크라운은 보철물의 재질에 따라 세라믹, 골드, PFM, 지르코니 등이 있으며 각 재료별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골드 크라운은 강도가 뛰어나고 마모에 강해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강한 저작력이 필요한 부위에 적합하지만 자연치아와 색상이 달라 눈에 띄고, 심미성이 떨어집니다.


세라믹은 자연치아와 색상이 유사하며, 레진에 비해 내구성이 좋습니다.

하지만 강도가 금 크라운보다 약해 깨질 가능성이 있고 비용이 비교적 높습니다.


PFM은 내부는 금속으로, 겉은 도자기로 제작되어 있습니다.

금속과 도자기의 내구성, 심미성을 고루 갖추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겉은 충격에 의해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앞니, 작은 어금니 등에 적합합니다.


지르코니아는 천연 세라믹으로, 강도가 뛰어나면서도 치아와 유사한 색상입니다.

내구성이 뛰어나 저작력이 필요한 어금니나 앞니에 적합합니다.


크라운 치료는 개인의 구강상태, 컨디션에 따라 시술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 상담 후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2025.04.16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