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잠을 자지 못하고 자다깨서 소리를 지르는 증상을 보이는데, 이런 증상이 야경증증상인지 궁금합니다. (광교 소아/남 야경증)

2023.07.18

...아기는 15개월이 지나도록 한번도 통잠이라고는 잔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한번씩 자다 깨서 소리를 지르기도 하구요. 어른들은 그저 아기가 커가면서 그럴수 있다고 하는데 어디서 보니 이런증상이 야경증 증상이라고 되어 있더라구요. 소아과에서는 예민한 아기라 조금 더 크면 좋아진다고 기다려보라면서 철분제를 처방해 주셔서 먹고는 있는데 좋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아기가 안자니 ...도 잠을 잘수가 없어서 너무 괴롭습니다. 치료하지 않고도 정말 자연히 좋아질 수 있을까요?
  • #야경증
  • #야제증
  • #야경증증상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황지모입니다.

야경증 증상은 소아~학령기에 발생할 수 있는 소아 수면장애로서 주요 특징은 입면장애, 얕은 수면, 수면이탈, 재입면장애, 이탈시 경악반응, 자율신경/면역증상 등입니다.

현재 아기가 15개월째 통잠을 전혀 못자고 있다면 수면장애라고 봐야하며, 야경증 증상에 해당하는지와 심한 정도에 대해서는 증상 체크와 진료를 통해서 확인해야할 것 같습니다.

보통 생후 6개월이면 통잠을 잘 수 있고, 12개월 전후로 대부분 수면상황이 안정됨에 비해서 더 커서 자연적으로 좋아지기를 기대하는 의미는 없어보입니다.

오히려 언제 좋아질 지 알수가 없으며, 좋아지지 않으면 만5~6세를 넘겨서도 지속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더 큰 문제는 좋아지는 기간까지 받게될 아이의 건강문제인데,

대부분 면역기능에 있어 악영향을 크게 받으며,

신체 성장 또한 많은 경우 저하되고, 일부는 뇌발달까지 지장을 받게 됩니다.

단지 잠을 재우거나 안정시키는 약이나 처방 치료가 아니라, 야경증이 발생하는 기능적 원인을 체질, 장부기능, 기혈순환 측면에서 찾아서 이를 치료함으로써 스스로 편안하게 깊은 잠을 잘 수 있습니다.

치료하는 동안만이 아니라, 치료된 이후에도 재발하지 않도록 원인치료를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2023.07.18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