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망상이 너무 심한 친구가 걱정됩니다 (청주 40대 초반/여 망상장애)

2024.06.22

친구가 피해망상이 너무 심해서 자신이 화장실 간 사이 친구들이 수다를 떨고 있으면 무조건 자신의 뒷담화를 한 것이라고 의심합니다. 원래 안 이랬는데 최근에 이혼하고 힘들어서 그런건지 피해망상? 비슷한 증세가 생긴 거처럼 보여요. 문제는 저랑 친구들도 얘 감당이 슬슬 안된다는 겁니다. 근데 금전적으로 이 친구한테 도움받은 부분이 많은 것도 사실이라 손절하기도 좀 그렇고 해서 병원에 같이 가게끔 해볼까 하는데요. 혹시 피해망상증은 꼭 정신과 가야할까요? 애가 부담을 느끼고 거부하거나 싫어할 것 같아 고민입니다.
  • #망상장애
  • #망상장애치료
  • #망상장애증상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권오현입니다.

친구의 피해망상 증상이 너무 심해서 걱정이라고 하셨습니다.

망상은 아무리 설득해도 바뀌지 않는 그릇된 생각인데요.

피해형, 질투형, 과대형, 색정형, 신체형, 혼합형 등 다양합니다.

피해망상 유형인 경우 타인이 의도적으로 교묘하게 피해를

주고 있다고 믿는 경향이 많은데요. 망상장애가 아닌 심한

우울증, 조현병에서도 망상이 생길 수 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망상장애는 망상 양상이 굳이 따지면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기반으로 하는데요. 하지만

사실이 아니며, 나름대로 망상의 근거를 댈 수가 있습니다.

망상장애는 겉으로 보기에는 별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심해지면 사회생활이 어려워지는데요. 망상 내용과 감정도

비슷하고 환각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조현병 같은 경우 누군가가 내 머리에 생각을 집어넣고,

내 생각이 주위로 전파되며, 누가 나를 조종한다는 비현실적인

내용이 주가 됩니다. 단편적이고 체계적이지 않은데요.

환각이 동반되고 각 유형에 따른 증상이 나타난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망상의 원인은 자세히 살펴보게 되면 변연계와

기저핵에 문제가 있을 때 주로 생기는데요. 심리학적으로는

정신역동적 원인, 사회적 원인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신역동적으로는 성장기 동안 주변의 신뢰를 받지 못해

주위 환경에 대한 배신감, 적대감이 늘어나 반동형성, 부정,

투사 등 방어기제가 사용되는 것인데요. 사회적으로 고립,

불신과 의심의 증가, 자존심이 하락되는 상황에 심한

좌절을 겪은 뒤 사회를 회피하며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해치려 한다는 망상에 시달리기도 합니다. 한의원에서는

침, 한약 등 치료를 통해 뇌 기능 불균형을 재조정합니다.

아울러 따뜻한 상담으로 사랑과 안정의 보상을 받고

무력감, 우울을 개선하여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바꾸기도

하는데요. 참고하셔서 진료 잘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06.22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