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성장판검사 몇살부터 할 수 있나요? (광주 목포 소아/여 키 성장)
2023.09.06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기호필입니다.
아이의 성장검사에 대해 고민이시군요.
성장판 검사는 대개 만 6세부터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첫째로, 만 6세 이전에는 어린 아이들의 성장판은 연골 형태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시기입니다. x-ray상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정밀하게 보는데 한계가 따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아이가 연령에 비해 키나 체구가 큰 편이라면, 만 5세 정도에서도 성장판 검사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둘째로, 성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나 관리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성장 문제는 식이, 호르몬, 질병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으며, 조기 발견과 조치는 아이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장에 걱정이 되시는 상황이라면 초등학교 입학시기까지 굳이 기다리실 필요가 없습니다.
셋째로, 성장판 검사를 통해 아이의 예상 성장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성장을 예측하고 개별적인 성장 곡선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성장검사는 단순히 성장판이 열려있는지, 닫혀있는지 보기 위함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성장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최종키 예측은 물론,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확인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뼈의 성장속도는 고정되지 않아 후천적 요인에 따라 느려지거나 빨라질 수 있습니다. 뼈 나이가 어리다면 그만큼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 더 늘어나 좋은 점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키가 적게 크고 있다면 그것은 별개의 문제로 보고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반대로 뼈 나이가 제 나이보다 앞서나간다면 조기성숙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경우 자동차가 엑셀을 밟듯 조숙화 현상이 점점 더 빨라지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키에 비해 몸무게가 더 많이 나가는 상황이라면 조기성숙의 영향이 있을 수 있으니 성장검사를 통해 틈틈히 아이의 성장 상황을 체크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성장판 검사는 키 성장을 주로 다루는 병의원에 방문하시어 상담한 후에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성장과 발달은 복잡한 과정이므로 전문가의 지도와 조언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202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