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방광증후군 치료하려면 어디로 가야하나요? 산부인과? 비뇨기과? (비아동 40대중반/여 과민성방광증후군)
2023.10.26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안유나입니다.
과민성방광증후군 증상이 의심되어 어떤 병원으로 내원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문의 주셨습니다.
답변 드리겠습니다.
우선 산부인과에 내원하시면 과민성 방광의 진단을 위하여 증상을 유발하는 감염이나 염증 등과 같은 다른 원인이 있는지 우선 확인한 뒤에 과민성 방광에 대한 진단이 시작됩니다. 진단은
1. 소변 검사 : 소변 내 염증 및 감염의 유무를 확인하며 균 배양검사, 요속검사, 잔뇨 측정 검사가 이루어집니다.
2. 초음파 검사 : 방광과 요도의 해부학적 모양 및 전반적인 골반 내 장기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3. 요역동학 검사 : 방광의 용적 및 방광과 요도의 압력을 측정하여 방광기능을 평가하는 정밀 검사입니다. 복압성 요실금을 진단할 때에도 활용됩니다.
4. 배뇨일지 작성 : 배뇨의 양, 횟수, 시간 등을 3일 연속 기록합니다. 자신의 배뇨상태를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잇으며 치료 전후 결과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과민성 방광염으로 진단된다면 행동요법, 약물치료, 수술적 요법으로 치료가 진행됩니다.
물론 모든 치료를 진행하실 필요는 없으며 환자 분의 상태 및 과민성 방광염의 정도에 따라 치료가 선택됩니다.
1. 행동요법 : 생활습관 교정, 골반근육운동(케겔운동), 바이오피드백요법, 전기자극요법, 방광운동, 배뇨 환경 개선 등을 통해 나쁜 배뇨 습관을 교정합니다.
2. 약물치료 : 방광 근육의 과활동성을 조절합니다. 약 3-6개월 정도 약을 복용하여 배뇨 횟수와 절박성 요실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약물에서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 아래 치료가 시작되어야 합니다.
3. 수술적 요법 : 과민성 방광염이 심한 경우, 방광 내 보톡스 주사를 맞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질 레이저를 시술 받은 경우에는 50%이상 과민성방광염 증상이 호전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