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 출산후 한쪽 손목무릎이 아퍼요 (파주 운정 30대 후반/여 산후풍)
2024.12.20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강자돈입니다.
둘째 출산 후 산후풍 증상으로 고생하고 계시군요. 23시간의 긴 진통 끝에 자연분만 하셨다니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게다가 첫째 때 제왕절개 경험까지 있으시다니, 몸에 부담이 많이 가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산후조리가 매우 중요한 시기에 모유 수유, 육아, 집안일까지 겹쳐 몸이 많이 힘드신 것 같습니다.
현재 겪고 계신 증상들을 보니 걱정이 많으실 텐데, 제가 한의학적 관점에서 산후풍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말씀해주신 증상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산후풍의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점들이 산후풍을 의심하게 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출산 후 발생한 통증: 출산 후 왼쪽 팔과 다리의 저림과 통증은 산후풍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특히 아기를 안고 수유하는 자세는 팔과 어깨, 허리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좌우 비대칭적인 통증: 오른쪽보다 왼쪽의 통증이 더 심하다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합니다.
산후풍은 신체 한쪽에 더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절 부위의 혹과 통증: 팔꿈치와 무릎에 생긴 혹 같은 것은 아마도 염증이나 부종으로 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출산 후 관절이 약해진 상태에서 무리한 활동이나 찬 기운에 노출될 경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전신 저림: 전신이 저릿저릿한 증상 또한 산후풍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는 혈액순환 저하 및 기혈 부족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출산 후 외출 및 과로: 퇴원 후 아기의 황달 문제로 외출을 하셨고, 집안일까지 많이 하셨다고 하셨는데,
이는 산후 회복에 필요한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산후에는 몸의 기혈이 허약해진 상태이므로, 찬바람을 쐬거나 과로할 경우 산후풍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습니다.
산후풍이란?
출산 후 산모의 몸은 극도로 허약해진 상태입니다.
이때 찬 기운에 노출되거나 과로, 스트레스 등을 받으면 관절 통증, 저림, 시림, 오한, 발열, 전신 통증, 우울감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통칭하여 산후풍이라고 합니다.
단순히 '출산 후유증' 정도로 생각하기 쉽지만,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만성적인 통증이나 다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환자분의 경우, 모유 수유 중이시라는 점을 고려하여 더욱 신중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한의학적인 관점에서의 접근:
한의학에서는 산후풍의 원인을 기혈 부족, 어혈, 풍한습사(風寒濕邪)의 침입 등으로 봅니다.
즉, 출산으로 인해 기혈이 허해진 상태에서 외부의 찬 기운(風寒)이나 습한 기운(濕)이 몸에 침입하여
기혈 순환을 방해하고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봅니다.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
따뜻하게 하기: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뜻한 물로 샤워나 반신욕을 하시고,
따뜻한 차를 자주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찬바람을 직접적으로 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충분한 휴식: 무엇보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자는 동안에는 어머님도 함께 쉬시고, 주변의 도움을 받아 집안일이나 육아 부담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균형 잡힌 식사: 영양가 있는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여 기혈을 보충해야 합니다.
특히 단백질, 철분, 칼슘 등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벼운 운동: 통증이 심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산책 등을 하는 것이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한의학적 치료: 한의원에서는 침, 뜸, 부항, 한약 등을 통해 산후풍을 치료합니다.
침과 뜸은 기혈 순환을 개선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한약은 허약해진 기혈을 보충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모유 수유 중인 점을 고려하여 안전한 한약재를 사용하여 처방하므로 안심하셔도 됩니다.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현재 겪고 계신 증상과 체질에 맞는 맞춤 치료를 받으시면 훨씬 빠르게 회복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건강 회복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힘든 시기이지만, 충분히 좋아질 수 있으니 희망을 잃지 마세요.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