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신경성실신 증상 검사 방법? (오창 30대 초반/여 미주신경성실신)

2025.02.27

안녕하세요 제가 스트레스 심하게 받고 난 이후로 불안하거나 긴장될 때 마다 가슴답답함 심장두근거림 식은땀 어지러움 올라와서 꼭 쓰러질 것 같다는 두려운 느낌을 받는데요 이게 미주신경성실신 증상 이라고 하더라고요 미주신경성실신 검사 치료 어디가야 하죠?
  • #미주신경성실신
  • #미주신경성실신증상
  • #미주신경성실신검사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조민정입니다.


말씀주신 증상들로 인해 걱정이 많으셨겠습니다. 미주신경성 실신 증상 검사 및 치료방법 관련해서 고민하고 계시는군요.


미주신경성 실신 증상은 과도한 심리적 긴장이나 불안이 발생하면 실신 전 갑자기 어지럽고, 속이 메스껍고, 꼭 토할것만 같이 오심과 구역감이 들면서, 머리가 아프고, 눈앞이 아찔하며, 피부가 창백하고 축축해지고, 시야가 좁아지고, 식은땀이 흐르는 전조 증상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그 후 의식을 잃고 실신합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주로 정신적인 긴장이 원인이 되지만, 신체적 긴장에 의해서도 유발 가능합니다. 장시간 서있거나, 사람이 붐비는 대중교통 안에 있거나, 더운 날씨 아래 오래 노출되어 있거나, 대소변을 과하게 참거나, 변을 보기 위해서 갑작스레 힘을 주는 경우에도 실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미주신경에 의해서 발생하는 실신이기 때문에 미주신경성 실신이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미주신경이란 무엇일까요? 우리 뇌 신경(腦神經)은 I부터 XII번 까지 총 12개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 10번 뇌신경인 vagus nerve를 미주신경(迷走神經) 이라고 하는데요. 신경의 분포가 워낙 광범위하고 전신적이기 때문에 미주신경 이라 명칭하였습니다. 인두, 후두, 성대, 귀, 혀, 식도에 분포하여 씹기, 삼키기, 말하기와 같은 운동을 조절할 뿐 아니라 심장, 폐, 위, 간, 신장 등 전신의 흉복부에 산포하여 이러한 기관들에 자율신경계 중 부교감신경계로서의 기능 또한 수행합니다.


자율신경계는 신체의 균형을 제어하는 신경 시스템 인데요. 대뇌의 지배를 받지 않고 독립적이고 자동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우리가 의지대로 조절할 수 없습니다. 스트레스 등 여러 상황에 맞추어 서로 길항 작용을 통해 신체를 통제합니다. 집중, 투쟁, 도망, 위기 상황에 작동하여 신체를 흥분시키는 교감신경계와 함께 휴식, 소화, 수면 상황에 작동하여 신체를 이완시키는 부교감신경계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교감신경이 항진되면 부교감신경은 억제되기 때문에 서로 시소를 타듯 길항적으로 인체 불수의 기능을 조절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결국 심리적 긴장과 피로에 의해 유발되어진 미주신경의 일시적 과흥분 오류에 의해 발생 합니다. 불안, 초조, 스트레스 등 정신적 유발인자가 발생하면 신체가 과하게 긴장하게 됩니다. 신체가 긴장하면 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되는데, 교감신경은 위급상황에 우리가 도피할 수 있도록 혈관을 수축시켜서 근육, 심장, 뇌에 혈액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심장이 빠르게 뛰고, 숨이 가빠지고, 사지에 피가 몰리고, 혈압·혈당·체온이 상승합니다.


교감신경이 과흥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어서 미주신경과 연관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 됩니다. 부교감신경은 몸을 휴식상태로 만들어주기 위해 심박수를 낮추고, 혈압을 떨어트리고, 뇌로 가는 혈액량을 감소시킵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이러한 부교감신경의 억제 작용이 과하게 나타나 혈압, 심박, 뇌 혈류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의식을 잃고 실신한 것입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몇분 간 실신 후에 저절로 회복하여 의식을 되찾긴 하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실신이 발생하면 주변 구조물들에 의한 외상이 우려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단 미주신경성 실신은 긴장, 불안, 초조 등 정서에 의해서 유발되기 때문에 심리적인 긴장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밀폐되고 밀집된 공간을 피하고, 오랜시간 서 있지 않도록 합니다. 뇌에 혈류가 부족하지 않도록, 다리를 올린 채로 누워있는 쇼크 포지션(shock position)을 취하는 것도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자율신경계 이상 증상 관련된 것으로부터 기능의 회복입니다.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 자체를 받지 않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상황에도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율신경계 기능, 면역력과 저항력을 기르는 것이 치료의 주안점입니다.


실신은 외부 자극으로 유발된 긴장을 자율신경계가 적절히 제어하지 못해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에, 자율신경실조증 증상부터 바로잡아 주어야 합니다. 인체 자율신경이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미주신경성 실신 예방이자 재발을 막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대한의학 및 한의원에서는 자율신경의 조절력과 통제력 회복을 도와, 불안을 해소하고 몸과 마음이 건강할 수 있도록 치료 하고 있습니다.

2025.02.27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