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 토끼똥처럼 동글동글해요

2018.11.02

아기밥을 5개월 무렵부터 쭉 먹였습니다. 변을 잘 보았는데 한달전부터 변이 동글 동글해졌어요. 기저귀 안을 굴러다닐 정도입니다. 중기 이유식을 하루 세번(2인분 을 주문해서 먹거든요), 한번 먹는 양은 한팩 이상입니다. 우유는 하루 두세번 150cc씩 모두 400에서 500정도이구요. 물과 주스약간,치즈 반쪽, 떠먹는 요쿠르 트 두개정도, 사과 갈아서 반쪽정도를 먹입니다. 열이 난 후에는 더욱 변비가 심 해지는데 아기가 싫어할 때까지 물을 먹여보지만 별로 나아지는게 없습니다. 변 은 하루에 한번보는데 예전보다 양이 많지 않아서 먹은게 다 어디가는지 궁금합니 다. 배맛사지도 하는데 다른 방법이 없을까요... 그리구... 사실 우리 아기는 분유를 먹으려 하질 않아서 잘때 몰래몰래 먹이거든 요. 한방울씩 먹이는 거라 한시간씩 걸리곤하는데 그것 땜에 제가 직장도 그만두 고 매달려 있습니다. 어떨때는 300 이하로 먹을 때도 있어요. 빨리 분유를 떼고 싶은데 돌 전에 떼면 안되나요? 어떤 책에 보니까 9개월에 분유를 떼어도 좋다고 씌여 있어서 무지하게 반갑더라구요. 그런데 사실 생우유도 먹일 방법이 없어요. 젖병을 빨질 않거든요. 그것도 잘때 먹여야 하는데 이가 썩을까봐 걱정이에요(이 는 아직 아랫니 두개도 완전히 난 상태는 아닙니다). 수저로 분유를 떠먹일 때도 있는데 무지하게 힘들어요. 스트로우로는 50정도 밖에 못먹거든요. 그렇다고 마시 는 건 더욱 무리라 불가능하구요... 저의 고행은 언제쯤 끝나게 될까요. 우유를 안 먹이고 밥만 먹이면 안되겠지요? 정말 힘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김우성입니다.

일단 아기밥을 잘먹는 다니 다행이네요 그러나 밤중에 먹이시는 것은 이제 줄이시길..

일부러 아이가 먹고 싶어 하지 않는데 먹이실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아이가 분유를 잘먹지 않는다면 먹고 싶어 할 때만 주시고 일부러 억지로 먹이시지 않아도 됩니다.

만 9개월이 지났다면 분유를 꼭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거든요 다른 먹거리로 대체하시여 먹이시길..

그리고 아이의 변은 변비인데요

아이들의 변비는 설사의 반대의 의미에서 또한 질병인데요 우리나라 어머니들은 아이가 설사를 하면 바로 병원에 오시는데 변비가 생기면 그래 언젠가 누겠지 하며 놔두시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실질적으로 변비는 설사보다 더 만성적인 문제를 일으키거든요...

아이들은 먹는 음식의 종류, 먹는양, 소화흡수 정도에 따라 대변을 보는 횟수가 달라서 어떤 아이는 하루에 몇차례 변을 볼 수 있으며

또 어떤 아이는 며칠만에 한번씩 변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며칠만에 한번씩 변을 보더라도, 딱딱하게 굳은 상태가 아니면 변비라고 할 수 없으며 변비라 함은 횟수 뿐만 아니라 변의 딱딱함도 있어야 합니다.

아이들의 변비는 병적인 원인보다는 심리적인 원인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3세 이전의 아이에게 대변가리기 훈련을 너무 엄격히 시키면 변을 참아버려 변비가 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아이들은 아주 재미있게 놀거나 여러가지 이유로 대변을 자꾸 참게 되면 변이 딱딱해져서, 다음에 대변을 볼 때 항문이 찢어져 통증이 발생하는데 통증 때문에 더욱 대변을 보지 않게 되어 대변이 더욱 배안에 가득 차게 됩니다.

대변이 계속 배안에 가득차게 되면 대변을 볼 수 있는 신경이 마비되어 대변이 꽉 차있어도 변을 보고 싶은 마음이 없어져 더욱 더 변비가 심해지는 악순환이 계속됩니다.

따라서 변비의 치료및 예방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잘못된 식생활의 개선과 함께 대변을 규칙적으로 볼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이의 변비는 먹는 양이 적어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먹는 양이 적은지 살펴보고 적게 먹는다면 젖이나 우유를 더 보충해 주도록 노력하고 만일 먹는 양이 적지 않다면 신생아의 경우에는 과즙등을 1일 5-15cc 정도를 2-3회 먹이면 도움이 됩니다.

이유식은 변비 치료에 아주 효과적이므로 이유식을 먹는 시기라면 섬유질이 많은 과일과 야채같은 이유식을 많이 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7개월이 되면 과일은 과즙대신에 긁은 것을 주고 야채는 거른 것이 아니라 으깬 것을 주어야 하며, 아이가 10개월되면 과일과 야채는 잘게 다지거나 자른 것을 주어야 효과적입니다.

분유를 먹일 때는 진하게 타거나, 연하게 타는것은 큰 차이가 없으며 다만 곡분을 섞어서 약간 진하게 먹이는 것은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변비가 있을 때도 묽게 먹이는 것을 미국에서는 권유합니다.

생우유는 아이에게 맞지 않는 경우에 변비가 올 수 있으므르 최근에 생우유를 먹이기 시작했거나 많이 먹였는지를 살펴보고 가능하면 적게 먹입니다.

만일 생우유가 원인이라고 생각이 들면 생우유는 젖이나 우유처럼 필수식품은 아니며, 다른 이유식만으로도 충분히 영양을 공급해 줄 수 있기 때문에 꼭 먹일 필요는 없고 몇개월 후에 다시 먹여볼 수 있습니다.

요구르트는 변비에 도움이 된다는 확실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변비의 치료로 많이 먹이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관장은 변비 초기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신생아는 약물을 사용하지 말고, 체온계를 항문에 넣다 뺏다 하면서 자극을 주거나 새끼손가락으로 자극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조금 큰 아이는 약국의 관장약을 사용해 볼 수 있는데 관장으로 인하여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집에서 관장하는 것은 가능하면 줄여야 하며 관장을 너무 자주 하면 아이가 관장에 의지하게 되어

변비가 더 악화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대변을 보는 습관은 변비 치료에 아주 중요합니다.

변비 치료 초기에는 관장을 해서 변을 볼수 있도록 하고, 어느 정도 시일이 지나면 매일 식후에 일정시간을 정해서 변이 잘 나오지 않더라도 15분 동안 힘을 주어 하루에 한번씩 대변을 보도록 해야합니다.

습관은 단시일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정상적으로 대변을 보는 습관을 키우기 위해서는 수 개월간의 꾸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운동은 가능하면 많이 해서 장의 운동이 활발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너무 집안에 있거나 침대에만 누워있는 경우에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정장제는 변비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약국에서 구입해서 사용하는 정장제는 추천하고 싶지 않으며, 의사의 처방에 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변비치료제는 기름 성분의 약을 주로 사용하는데 단기간에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약 3개월 정도 먹이면서 규칙적으로 대변 보는 습관을 들이면 효과가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소아변비의 대부분의 원인은 잘못된 식습관이나 대변습관에서 나오지만 호르몬질환이나 신경근육질환등의 질병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변비가 오래지속 되는 경우에는 병원에서 1차적으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2018.11.02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