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에서 엷은색 피가나옵니다.
2018.11.02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의 김우성 입니다.
생후 4일 째 되는 아이라면 빨간색 소변이 나오는 것은 피가 아니라 요산요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것은 요산이 섞여 나와 기저귀가 붉게 물든 것은 대개 정상입니다: 소아과
에서 엄마들로부터 흔히 받는 질문 중의 하나가 아기 오줌에서 피가 나왔는데 어떻게 해
야 하느냐는 것입니다.
특히 신생아의 경우 소변을 본 기저귀가 붉게 물들어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비교적 경계가 뚜렷하며 약간의 분홍빛을 띠기도 하는데, 어떤 경
우는 가루 같은 것이 만져지는 것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기저귀가 붉게 물드는
것은 소변이 진해서 그런 경우와 소변 속에 들어 있는 요산 때문에 그런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요산이란 우리 몸의 DNA가 분해되어서 소변으로 나오는 것으로, 요산이 소변에
섞여 나와 기저귀를 붉게 물들이는 것은 대개의 경우 정상입니다.
요산은 우리 몸에서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물질로 어린 아기의 소변으로 배출되어 기저귀를 붉게 물들입니
다.
어쩌다 한두 번 나오기도 하고 한동안 지속적으로 나오기도 합니다.
피와는 달리 요
산은 기저귀에 묻은 맑고 붉은 색이 시간이 지나도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바로 이 요산
이 엄마들이 아기 오줌에 나왔다고 하는 ‘피’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요산이 나오는
것은 그다지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요산 때문에 기저귀가 붉게 물들 때는 모유를 먹
는 아기에게는 모유를 좀더 먹이고 분유를 먹는 아기에게는 물을 좀더 먹이는 것이 좋습
니다.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 요잠혈이라는 병으로, 신경써서 치료해야: 물론 기저귀를 붉
게 적시는 것이 다 소변이 진하거나 요산이 원인인 것은 아닙니다.
엄마가 가장 고민하
고 소아과 의사 역시 가장 신경을 쓰는 것이 소변에서 진짜로 피가 나와서 기저귀를 붉
게 물들이는 것입니다.
소변에서 피가 나오는 경우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요로감염이
있거나 요로 결석이 있는 경우도 있고 신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피
가 응고되지 않는 병이 있거나 요로에 외상을 입어도 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또 생식
기 주변의 외상 때문에 기저귀에 피가 묻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밖에 붉은 색 음식
을 많이 먹거나 색소가 들어 있는 약을 먹었을 때 소변이 붉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기저귀가 붉게 물들면 반드시 의사에게 보여야: 기저귀가 붉게 물드는 가장 흔한 원인
은 요산이 소변으로 나오는 것이지만, 반드시 소아과 의사에게 기저귀를 보여서 그것이
피인지 요산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기저귀를 비닐 봉지에 싸서 병원에 가져가면 되겠
지요.
주위에서 우리 아기도 소변에서 그런 것이 나왔는데 그냥 두었더니 좋아지더라 또
는 우리 아기도 그래서 병원에 갔더니 아무 문제 없다더라는 식의 이야기를 듣고 병원
에 가지 않는 엄마들이 있는데, 그것은 곤란합니다.
실제로 의사가 눈으로 보기 전에는
피(더구나 오줌에 섞인 피)와 요산은 구별이 잘 안됩니다.
의심이 갈 때는 꼭 병원에 가
서 소변 검사를 해야 합니다.
피가 나오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지만 그렇다고 그리 드
문 일도 아닙니다.
참고하세요
2018.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