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밑과 입술아래쪽으로 붉은 반점같은게 생겨요(인천 송도 소아/남 아토피)

2020.09.08

안녕하세요. 아이때문에 우연히 사이트에 들어왔다 상담드리고자 몇자 띄웁니다. 둘째아이때문인데요, 돌까지 모유먹이고 키웠거든요, 백일지날 무렵 더운 여름이였는데, 유독 우리애가 땀을 많이 흘리더군요. 젖먹을때나, 잠잘때...그러더니 몸에 붉은것이 나길래 병원갔더니 아토피는 아니구 그냥 피부염이라고 하시더군요. 겨울에는 깨끗하게 있다가 올 여름에 또다시 생기더라구요?, 아이가 점점 커지면서 자연히 땀이 줄어들면 괜찮을거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최근에는 눈밑과 입술아래쪽으로 붉은 반점같은게 생겨요, 어떤 애기엄마가 보더니 아토피같다고 하더라구요. 이런것은 땀과는 상관이 없을것 같은데 어떤지 모르겠네요. 평소에 몸에 바르는 연고를 한번 발라줬더니 색은 많이 옅어졌는데, 완전히 없어지진 안네요. 참고로 눈밑은 예전부터 약간 틀리다고는 느꼈는데, 눈에 띄게 나타난것은 최근이거든요?(오른쪽) 복숭아와 캔에 든 햄을 먹고난 후인거 같은데, 답변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땀이 많은 아이한테 좋은 한방약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고재경입니다.

일반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피부의 만성염증과 함께 피부가 수분을 충분히 가지지 못해 생기는 병입니다.

이 병은 퍽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데 전인구의0.5-1%, 어린이의 경우 5-10%가 이 병 때문에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대체로 생후 2-6개월이며 85%가 만 다섯 살 안에 나타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은 우선 무엇보다도 심한 가려움증 입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피부소견은 피부의 발진 때문에 가렵다기 보다는 피부가 가려워서 긁다보니 피부발진이 생겼다는 것이 옳을 것 같습니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은 잘 낫지 않고 재발을 자주 합니다.

초기인 영아나 어린 소아기에는 가려운 붉은 부풀은 반점이 얼굴, 목, 팔꿈치 뒤쪽, 무릎 앞쪽에 잘 생깁니다.

더 나이가 들어 나타나는 아토피성 피부염은 건조하고, 부풀어 일어나며 긁고 문질러서 진물과 딱지가 생기는 데 팔꿈치 안쪽이나 무릎 뒤쪽 등 주로 구부러지는 부위에 잘 생깁니다.

가려움의 정도는 매우 심해서 피가 날 정도로 긁게 되며 의 악순환 싸이클이 계속됩니다.

더 지속되면 피부가 갈라지고 두터워 집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보통 어릴 때 잠시 앓는 병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50%는 두 돌(24개월) 이내에 없어지나 25%는 청소년기까지 가며, 나머지 25%는 성인이 되어도 없어지지 않고 계속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우 한방으로도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는 전체적인 아이의 몸상태 및 환경을 개선하는 것에 달려있습니다.

단순히 의학적 치료만이 아니라, 식이, 생활환경을 개선해야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아이의 상태에 따라 맞춘 한약을 투여하며, 체질에 맞는 한방침구요법 및 한방아토피 크림 및 오일, 목욕물, 비누 등의 한방피부외용제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보통 영아기에는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이 정상입니다.

그러나 그 정도가 너무 심하거나 땀으로 인한 피부질환이 발생한다면 빨리 진찰을 받게 하시고 치료하시는게 좋습니다.

특히 여름에는 땀띠가 심해져서 고생하는 경우도 많으니 땀이 많이 찬 옷을 오래 입고 있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써주시고, 얼굴의 눈밑과 입술 아래는 땀이 잘 고이는 부분이니 땀이 고이지 않도록 신경을 써 주시기 바랍니다.

연고제를 사용하실 때는 임의로 사용하지 마시고 반드시 한의사나 의사의 진찰을 받으신 후, 피부의 상태에 가장 알맞는 연고를 처방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임의로 사용하시는 연고 특히 부신피질 호르몬이 포함된 연고는 처음에는 간편해서 좋지만 후에는 병을 더 깊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눈밑이나 입술 아래의 붉은 반점은 진찰을 하지 않아 정확히 무엇이라고 말씀드리기가 어렵군요.

빠른 시일내 내원하셔서 정확한 진찰을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라도 다시 한의원 홈페이지에 메모 남겨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2020.09.08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