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을 쉴 때마다 입냄새가 나요. (서초구 30대초반/남 입냄새)

2021.08.20

원래는 입냄새가 심하지 않았는데 어느 순간부터인가 숨 쉴 때마다 입냄새가 나요 처음에는 입 안에 문제가 있나 싶어서 치과에 가서 진료도 받았는데 치아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하네요... 입냄새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랑 말하는 것도 조심스러워지고 마스크 쓸 때는 냄새 때문에 너무 힘이 드네요 검색해 보니까 식습관 때문에 날 수도 있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외식을 자주 하다 보니까 고기를 많이 먹거든요 혹시 이것도 원인이 될 수 있을까요? 그럼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요?
  • #서초구입냄새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김준명입니다.

숨을 쉴 때 나는 입냄새 때문에 걱정이 많으신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숨을 쉴 때 입냄새가 나는 증상은 몇가지 상황을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1. 구강 내의 심한 악취가 코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구강과 코는 연결이 되어 있어서 구강 내의 입냄새개 심한 경우 코로 배출이 되면서 악취가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대화를 하고 입을 벌리면 냄새가 더 심해집니다.

2. 코질환이 있는 경우

축농증이나 비염으로 인한 염증 물질은 안 좋은 냄새가 납니다.

염증성 분비물이 코에 있어서 환자가 숨을 쉴 때 그 냄새를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엔 타인은 느끼지 못하고 환자 자신이 느끼는 경우가 많고, 코 증상이 아주 심한 경우엔 다른 사람도 환자의 호흡에서 냄새를 느낄 수도 있습니다.

3.호흡기 질환이 있는 경우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배출되는 염증 물질의 냄새가 호흡시 배출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경우 해당 호흡기 질환이 중증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일반적인 입냄새 환자는 해당 되는 경우가 적습니다.

4.위식도역류 증상이 있을 때

위장-식도를 통해서 속에서 냄새가 올라오는 경우에도 입을 다물고 숨을 쉬면 냄새가 배출 될 수 있습니다.

입을 다물고 트림을 하면 그 냄새가 코에서 느껴지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5. 혈액 내 악취물질이 있는 경우

혈액 내에 냄새가 나는 물질이 포함 되어 있는 경우 폐에서 가스교환이 될 때 악취 물질이 호흡으로 배출됩니다.

가장 흔한 예는 과음을 한 다음날 알코올이 혈액내에 남아 있으면 숨쉴 때 술냄새가 나는 경우 입니다.

알콜, 마늘, 지방 등의 특정한 물질을 과다하게 섭취했을 때 그 냄새가 호흡을 통해서 나기도 합니다.

소화기능이 안좋아 장내에서 악취를 풍기는 물질이 과다하게 발생할 때도 해당 물질들이 장에서 혈관으로 흡수되었다가 호흡시 배출이 되기도 합니다.

이런 냄새를 장관유래성 구취라고 합니다.

또 하나의 경우로는 다이어트, 기아 등의 상태에서 발생하는 케톤 냄새가 호흡을 통해 배출 되는 경우입니다.

이처럼 숨을 쉴 때 냄새가 나는 것도 상황에 따라 그 원인이 다릅니다.

따라서 본인의 증상이 어떤 경우에 해당이 되는지는 전문적인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통해 확인 하시고 그에 맞춰 치료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입냄새는 뚜렷한 한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보다는 몇가지의 원인이 결합해서 발생할 때가 많습니다.

뚜렷한 치과질환으로 발생하는 경우 등을 제외하면 소화기.

침분비.

설태.

체질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결합하여 발생하므로 치료도 어느 한 곳만을 치료하는 방식보다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런 치료 방식은 한의학이 가지고 있는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입냄새가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심각한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도 있으니 잘 치료 받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1.08.20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