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가 얼얼해요. 따끔거리는것 같기도 하구요, 혀가 얼얼한 이유가 뭘까요? (광주 30대후반/여 혀통증)

2020.09.12

혀가 얼얼해요. 한달전부터 시작된 것 같습니다. 입도 건조하고 화끈거리는것 같기도 하고 따끔거리는것 같기도 하구요. 혀가 얼얼하니 너무 신경쓰이네요. 치과 이비인후과에서는 별다른 이상이 없다고 합니다. 혀가 얼얼한 이유가 뭘까요?
  • #구강건조증
  • #혀통증
  • #구강작열감증후군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신재익입니다.

혀가 얼얼한 증상으로 문의주셨네요.

질문해주신 내용을 종합해봤을때 구강작열감증후군이 의심됩니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뚜렷한 원인 없이 입안에서 화끈거리거나 따끔거림, 미각 변화, 감각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진단합니다.

남자보다는 여자, 젊은 사람보다는 50대 이상에서 더 잘 나타납니다.

한의학에서는 위장 기능의 저하와 심화(心火), 진액 부족 등을 혀통증의 원인으로 접근합니다.

첫째, 위장 기능이 저하되면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면서 노폐물이 쌓이고 이로 인해 혀가 얼얼한 증상이 생기게됩니다.

위장기능의 저하로 생긴 백태가 혀를 더 불편하게 느끼게도 합니다.

위장장애가 있다면 소화에 부담을 주 않는 식습관을 잘 지켜주세요.

둘째, 심화(心火)는 주로 스트레스로 인해서 생깁니다.

화를 자주내거나 감정 기복이 심하면 구강작열감이 잘 나타납니다.

화를 많이 참는경우도 주의해야합니다.

심화로 인해 혀가 건조해지고 작열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평소에 스트레스를 덜받으려고 노력하고 항상 여유로운 마음가짐을 가지는 것이 혀통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셋째, 진액부족은 몸의 전반적인 진액이 부족해지면서 구강 안 쪽의 진액도 부족해져 건조감이 심해지고 구강 점막도 약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구강작열감이 생기게 됩니다.

구강건조는 구강작열감을 직접적으로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입을 건조하게하는 구강호흡을 피하고 꼭 코로 숨을 쉬는 것이 좋습니다.

잘 때도 테이프 등을 통해 입을 벌리고 자지 않게끔 관리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한의원에서는 침과 한약, 약침, 생활습관교정 등을 통해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치료하고 있습니다.

혀가 얼얼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상담받아보세요

질문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2020.09.12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