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술 아토피가 심한데 어떤 방법이 효과적일까요? (남양주시 다산동 20대중반/여 아토피피부염)

2020.12.27

제가 아토피가 얼굴에 심해서 눈꺼풀, 이마, 볼, 귀, 입술 , 인중이 다 붉고 간지럽고 하긴 한데요. 그중에서도 입술이 제일 심해서 너무 힘들어요. 입술선 따라서 간지럽고 진물나고 밥 먹거나 하품할 때도 입꼬리가 또 갈라질까봐 입을 벌리기도 무서워요. 립밤 거의 얹어두듯이 하고 자는데도 계속 건조한데 좋아지는지 잘 모르겠어요..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 #얼굴아토피
  • #입술습진
  • #입술아토피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임은교입니다.

입술에 아토피증상이 심하여 입을 벌리기도 힘들고 가려움증, 진물 등으로 고생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아토피피부염은 신체 어느 부위에든 발생할 수 있는데 눈에 띠는 얼굴이나 손에 나타나면 자신의 외모나 다른 사람의 시선에 대해서 더 신경을 많이 쓰고 스트레스를 받다 보니 더 면역력이 떨어지고 아토피가 잘 낫지 않는 악순환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집에서 보습을 잘 해주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등 관리를 해도 잘 낫지 않는다면 증상을 방치하지 말고 몸 상태에 맞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토피피부는 단순히 보습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 원인이 되어 피부에 염증이 지속되는 것이 아니고 면역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토피피부염에는 항염증 또는 면역억제작용이 있는 연고나 약이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

항염증효과가 있는 연고 중에서도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연고는 부위, 증상의 심각도 등에 따라서 등급이 다른 연고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가 얇고 연고흡수율이 높은 얼굴에 강한 등급의 연고를 사용하거나 권장된 사용기간 이상으로 연고를 사용할 경우 크고 작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조심해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얼굴에는 약한 등급의 스테로이드가 단기간 사용되거나 스테로이드가 포함되지 않은 면역억제제 연고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완화되지 않았다면 면역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원인이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외부의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는 물질만 살피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적인 건강 상태를 살펴 면역기능이 떨어진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과로,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습관, 수면불량, 운동부족 등이 면역력이 떨어지게 만드는 요소로 꼽힙니다.

이 요인들 모두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아토피피부염 발생 및 악화에 영향을 줄 수는 있으나 사람마다 본인의 아토피피부염에 핵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원인과 신체 증상은 각각 다를 수 있습니다.

아토피 한방치료의 특징은 아토피라는 똑같은 증상을 겪고 있더라도 아토피가 심해지는 데에 영향을 준 생활습관이나 신체 증상, 타고난 체질 등이 다르면 개개인마다의 아토피의 원인이 다르다고 판단하여 치료 또한 다르게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즉, 질문자님의 아토피가 시작되고 악화된 시기에 문제가 된 생활패턴이나 스트레스, 입술아토피를 악화시키는 데에 영향을 주는 신체증상 및 타고난 체질적 요소를 찾고 그 부분을 해결함으로써 아토피를 치료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기존에도 신체적으로 활동량이 많아 피로해지면 혓바늘이 잘 나거나 단순포진이 잘 생기던 분에게서 과로하면서 입술아토피피부염 증상도 심해졌다면 과로로 생긴 피로를 해소하고 열을 낮춰야 아토피피부염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물을 잘 챙겨 마셔도 입이 항상 잘 마른다고 느끼던 분이 이 증상이 심해지면서 입술도 건조해지고 입술아토피 증상이 심해졌다면 갈증을 해결하고 입안이 건조하지 않게 만들어주어야 아토피 증상이 완화될 것입니다.

아토피피부염은 만성 난치성 피부질환이고 연고를 바르거나 보습을 잘 해도 증상이 잘 해결되지 않아 자포자기 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요.

기존의 치료나 관리법으로 호전되지 않았다면 단순히 피부만 살필 것이 아니라 전문 의료인의 도움을 받아 보다 몸 전체적인 건강상태를 살피고 아토피가 심해진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본인의 몸 상태에 맞는 치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2020.12.27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