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잠이 안와요. 왜 그런거죠? (분당 수내 50대중반/남 불면증)
2021.03.23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신강식입니다.
갑자기 생긴 불면증으로 고민이 있으시군요.
외부적 사정으로 수면위생이 안좋아진 경우 뇌의 수면을 조절하는 기능이 손상을 입어 수면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불면증과 한의원에서의 치료방법에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불면증은 삶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리고, 경험해 보지 않은 사람들은 그 고통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 이해받기 어려운 질환입니다.
불면증은 잠들기 어려운 입면장애, 중간에 자주 깨는 수면유지장애, 새벽에 너무 일찍 깨서 다시 잠이 들지 않는 조조각성장애로 나뉩니다.
누워서 30분 이상 지나도 잠이 들기 어렵거나, 자다가 자주 깬다든지, 너무 일찍 잠을 깨서 잠을 못 이루는 경우, 충분히 잤는데 계속 졸린 경우 등을 모두 불면증이라 부를 수 있습니다.
불면증은 근본적으로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뇌 신경계의 기능이상으로 발생합니다.
아울러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가 불면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합니다.
뇌의 시상하부와 뇌간망상체는 수면과 각성을 조절합니다.
시상하부에서는 오렉신과 가바라는 물질을 분비시켜 뇌를 깨어나게 하고 잠들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어떤 원인에 의해 이러한 물질을 분비하는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면 수면과 각성 조절이 흐트러지게되고 불면증이나 기면증 등과 같은 수면장애와 함께 우울증, 만성피로, 기억력저하 등이 함께 발생합니다.
또한 수면 중에는 깊이 잠이 들었을 때 나오는 델타파가 잘 나와야지만 숙면을 취하는데 수면중에 깨는 불면증의 경우에는 숙면시 나오는 델타파가 나오지 않고 각성이 되었을 때 나오는 베타파가 너무 많이 나와 잠을 깨게 됩니다.
따라서 치료 시에는 델타파가 잘 나오도록 유도하고 베타파는 줄이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문의주신 분의 경우처럼 어떤 사정으로 수면위생이 안좋아지면 위에서 설명한 뇌의 수면조절기능에 손상이 생겨 불면증이 오게 됩니다.
한의원에서는 이처럼 불면증의 원인이 되는 뇌 기능을 회복시켜 뇌가 스스로 수면과 각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한의원을 방문하시면 불면증의 원인과 심한 정도, 동반문제, 예후 등을 판단하기 위해
체질검사, 심리검사, 스트레스검사, 평가척도검사, 체성분검사, 뇌기능검사 등이 이루어집니다.
이후 검사결과에 따라 적합한 치료방법과 치료기간을 결정하게 됩니다.
구체적인 치료는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뇌기능을 회복하고 스트레스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한약을 복용합니다.
아울러 1주에 1~2회 약침, 전침, 경추교정추나요법, 한방물리요법, 자기조절훈련, 기공명상훈련등을 적절히 병행하면 더 좋은 효과를 거두실 수 있습니다.
가까운 한의원에 방문하셔서 진료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2021.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