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변은 유독 아토피가 안 낫네요. (의정부 20대중반/여 아토피피부염)

2021.04.20

초등학생 때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아토피 달고 살아온 사람입니다. 어렸을 때 비하면 지금 다른 부위는 아토피가 많이 좋아져서 보습 잘 해주고 야채 많이 먹고 면역력 안 떨어지게 해주니까 괜찮은 것 같은데요. 입술 라인 주위 따라서 아토피 때문에 간지럽고 각질 일어나고 긁어서 피부 어두워진 건 유독 잘 안 낫네요. 헤르페스도 자주 생겨서 항바이러스 연고도 자주 발라줘야 되구요. 립밤 발라도 계속 건조해요. 입술 두꺼운 사람마냥 돼서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입술 아토피는 어떻게 관리해야 되나요?
  • #입술아토피
  • #성인얼굴아토피
  • #아토피헤르페스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임은교입니다.

입술 아토피로 인해 극심한 가려움증과 건조함으로 일상에서 크고 작은 불편함이 많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더군다나 얼굴에 보이는 입 주변으로 아토피가 지속되어 스트레스 또한 많이 받고 계실 것 같습니다.

아토피피부염은 신체 어느 부위에든 발생할 수 있지만 눈에 띄는 얼굴이나 손에 아토피가 나타나면 자신의 외모나 타인의 시선에 대해서 본인도 모르고 더 신경을 쓰게 되고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몸 안의 면역력이 낮아져 아토피는 더욱 낫지 않는 악순환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집에서 보습을 잘 해주고 규칙적인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지켜도 아토피 상태가 호전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면 증상을 방치하지 마시고 자신의 몸 상태에 맞게 알맞은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토피피부의 경우 단순히 보습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 발생원인은 아닙니다.

피로, 스트레스, 알레르기 요인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체내 면역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과민하게 반응하여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토피 피부염에는 항염증 또는 면역억제작용을 가진 연고 또는 약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항염증 효과가 있는 연고 중에서도 보통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연고는 부위나 아토피 증상의 심각도 등에 따라 등급이 다른 연고가 사용될 수 있는데 얼굴은 피부가 얇고 연고 흡수율이 높아 강한 등급을 가진 연고를 바르거나 권장 사용 기간을 넘도록 연고를 바른다면 크고 작은 부작용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점을 꼭 조심해서 사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래서 얼굴에는 약한 등급을 가진 스테로이드 연고가 짧은 기간 사용되거나 스테로이드 성분 자체가 포함되지 않은 면역억제제 연고를 사용하게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면역계 기능에 영향을 줄만한 신체적인 요인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면역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외부에서만 찾거나 염증을 완화시키는 데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신체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살펴서 면역 기능이 떨어진 원인을 찾아 아토피 증상을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육체적인 과로나 스트레스, 수면의 부족, 불규칙한 식습관, 운동 부족 등이 신체의 면역력을 낮아지게 만듭니다.

그러나 사람마다 본인 아토피에 핵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원인과 신체 증상을 각각 다릅니다.

똑같이 아토피 증상을 겪고 있어도 아토피가 악화되는 데 영향을 주는 습관이나 신체 증상, 체질 등이 다르면 개개인마다 아토피 발생 원인이 다르다고 판단을 해서 치료 또한 다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즉, 아토피가 시작되고 더욱 악화된 시점에 문제가 되었던 생활에서의 패턴이나 스트레스, 신체증상, 타고난 체질적인 요소 등을 찾고서 그 부분을 개선하며 아토피를 치료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얼굴아토피가 가장 심하다고 해도 어떤 경우에는 눈아토피가 심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입술아토피가 심할 수 있습니다.

유독 눈으로 증상이 심해지는 데에는 눈의 초점이 잘 맞지 않거나 수면의 질이 좋지 않아 눈이 항상 피로한 등의 관련된 신체 증상이 있을 것입니다.

반면 유독 입술 주변으로 증상이 심해지는 데에는 입이 잘 헐거나 갈증이 나고 항상 목이 건조한 등 다른 신체증상이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

각각의 경우에 따라 염증을 완화하고 피부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치료해야 할 증상이 눈의 피로/입마름 등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나의 아토피가 왜 유독 이 부위에서 시작되고 지속될까"에 대해 보다 꼼꼼히 살펴보시는 것이 아토피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아토피는 만성 피부질환이며 연고를 바르거나 평소 보습관리를 잘하더라도 증상이 잘 낫지 않아 자포자기 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토피피부염은 불치병은 아니며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면 충분히 호전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기존의 치료나 관리 방법으로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전체적인 신체 건강을 살펴보고 아토피가 심해진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여 본인 몸 상태에 맞는 치료로 증상을 개선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2021.04.20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