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때문에 생긴 손저림인지 궁금합니다. 직업이 팔을 많이 쓰긴 하는데. (연신내 40대후반/여 손저림,당뇨)
2022.03.26
안녕하세요, 서울특별시한의사회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안선준입니다.
팔통증이나 손저림은 여러 원인으로 생길수 있습니다.
손저림 하나로 당뇨라고는 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손저림은 당뇨로도 발생하곤 하는데 혈관의 점성이 높아지게 하는 당뇨병은 손저림, 발저림과 같은 혈액순환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혈당체크를 주기적으로 하시면서 혈당이 조절된다면 손저림이 회복될 수 있습니다.
당뇨 외에 팔꿈치 퇴행성 관절염으로도 손저림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팔을 많이 사용하시는 분에게 노화로 인해 관절염이 잘 생깁니다.
신경은 팔꿈치의 공간을 통해서 손가락으로 내려오는데, 관절염으로 지저분해진 뼈의 경계가 자라나고 해당 공간이 좁아지면, 신경을 계속해서 자극할 수 있지요.
팔을 최대로 폈거나 구부릴 때 통증이나 뻐근함이 느껴지고, 움직임의 범위가 줄어들곤 합니다.
손가락은 4, 5지가 저린 경우가 많고, 손등쪽 엄지손가락 근육이 말라서 힘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때 봉/약침, 침치료 등으로 팔꿈치 염증을 치료하고, 최대한 일상에서 사용을 줄이고 점차 안정화 시킨다면 증상이 나아질 수 있습니다.
또, 수근관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는데 수근관 내에서 정중신경의 압박으로 일어나는 증상으로, 엄지, 검지, 중지손가락 부위가 주로 저리게 됩니다.
많은 경우 손을 많이 쓰시는 분들에게 흔히 관찰되며, palen 검사라는 이학검사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수근관 증후군으로 인해 손이 저린 사람들은 첫째로 침치료로 부위를 염증 치료를 통해 통증을 줄여나가 저림을 사라지게 합니다.
간혹 유착이 매우 심한 사례는 도침치료를 시행합니다,
손저림은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도 나타날 수 있는데 이때 MRI로 확진할 수 있으며 몇가지 이학검사로 추간판 탈출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말씀하신 당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환으로 생길 수 있답니다.
통증이 장기간 이어진다면 이후에 회복이 뎌딜 수 있기에 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202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