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살 성인인데 조용한 ADHD 같아요. 치료가 필요할까요? (노원구 30대초반/남성 성인ADHD)

2023.04.24

나이는 이제 30살인데 제 현실은 시궁창입니다. 무능력하고 맨날 회사를 다니다가 그만두고 다시 다니고를 반복합니다. 이 얼마나 쓸 때 없고 한심한 짓인지 알면서도 고치기 힘듭니다. 인터넷으로 ADHD테스트를 해보니까 제가 조용한 ADHD인거 같습니다. 조용한 ADHD 증상을 봤을 때 90%가량이 저랑 일치 했습니다. 원하는 꿈이 있는데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를 해야 되는걸 압니다. 하지만 공부를 시작하자마자 딴 생각이 들고 내일로 미루는 버릇까지 있습니다. 꿈을 향한 절박감은 절실한데 실천이 안됩니다. 항상 후회를 반복합니다. 실천으로 옮겨도 딴생각이나 내일로 미루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너무 심합니다. 스트레스가 쌓이다보니 분노도 조절이 안됩니다. 무언가를 부셔야만 분노가 풀립니다. 제 증상이 조용한 성인ADHD라면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제발 도와주세요.
  • #ADHD
  • #성인ADHD
  • #조용한ADHD
  • #성인ADHD상담
  • #성인ADHD치료
  • #성인ADHD한의원
  • #ADHD종류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김헌입니다.

원치 않은 증상으로 너무 힘드신 듯 합니다. 성인 ADHD에 대해 문의해주셨는데요. 통계로 보면 성인의 2.5%가 전형적인 ADHD 성향을 보입니다. 그동안은 성인 ADHD 증상을 가진 사람들에게 성격이 급하다, 다혈질이다, 경솔하다, 진득하지 못하다, 참을성이 없다, 머리는 좋은데 운이 없다 등과 같은 묘사와 평가들을 주위에서 흔히 해 왔습니다. 이제는 이러한 특성들을 ‘성인 ADHD’라는 관점으로 새롭게 바라보아야 합니다.

ADHD치료를 증상이 나타났던 유아동기에 바로 시작했다면 제일 좋았겠지만 성인이라고 해도 늦지는 않습니다. 먼저 본인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진료를 받고, 그에 따른 적절한 약물 치료와 상담 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을 병행한다면 삶의 질이 훨씬 개선될 수 있습니다.

한의학적인 ADHD치료는 강제적으로 뇌 흥분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아니라 뇌가 잘 안정되도록 도와 뇌 스스로 자신의 행동과 주의집중력을 통제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치료는 부작용과 치료를 중단하였을 때 증상이 다시 심해지는 반동현상이 훨씬 적게 나타나므로 안정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다만 ADHD 증상이 아주 심해서 한 가지 치료법만으로는 좋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거나 양약의 부작용이 심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한약과 양약을 함께 복용하거나, 양약을 복용하면서 침, 뜸, 약침, 추나요법 등과 같은 한의학적인 치료법들을 병행함으로써 부작용은 줄이면서 효과는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감사합니다.


2023.04.24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