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수포 터짐(창원 20대후반/남 한포진)

2023.12.02

안녕하세요. 제가 4, 5번째 손가락에 수포가 났었는데 너무 가려워서 긁고나니까 수포가 터져있더라구요.. 이거 혹시 덧나지 않았을까 해서요 수포 터지고 난 후에도 치료받을 수 있나요?
  • #창원한포진
  • #창원한포진치료
  • #창원한포진한의원
  • #창원한포진치료한의원
  • #창원한포진한약
  • #창원손가락수포
  • #창원손가락물집
  • #창원수포가려움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송성문입니다.


손가락에 나타나는 수포로 인해 불편함이 많으시죠?

현재 증상으로 보아 한포진이 의심됩니다. 수포가 터지고 난 후에도 치료를 잘 받으시면 됩니다.


한포진은 습진의 한 종류로, 수포와 소양감을 주 증상으로 하는 만성 재발성 피부질환입니다. 처음 증상이 나타날 때는 수포가 발생하며, 가려움을 주 증상으로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부위가 딱딱해지고 각질화 되어 결국 탈락 되면서 진물이 나거나 감염 증상이 생기게 되는데, 차츰 회복을 하지만 얼마 안 가서 다시 수포가 발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주기를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현재 고름이 나오는 상태가 감염이 일어난 상태일 수도 있으며, 심하면 환부를 중심으로 부으면서 번져나가는데, 피부 안 쪽으로 농이 차는 농가진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성화가 되면, 수포가 올라올 때는 주로 가려움이 심하고, 각질화가 되었을 때는 주로 따갑거나 환부의 찢어진 상처로 많이 불편해 하십니다. 더 심해지면 피부의 재생이 제대로 안 되면서 피부가 갈라지고 염증이 계속 있는 상태로 통증이 심하기도 합니다.


작은 수포가 초기에 올라오다가 자연히 사라지기도 하나, 몇 주간의 주기성을 가지면서 번지거나 재발 혹은 매월 또는 매년 발병하기도 하며, 손바닥, 발바닥, 손가락 측면 뿐만 아니라 증상이 심해지면 손등이나 팔목까지도 증상이 올라올 수도 있습니다.


한포진으로 생긴 피부 손상은 심하면 2차 감염의 우려가 있습니다. 2차 감염이 생기면 한포진과는 별개로 발적, 부종, 발열, 통증, 수포, 진물 등의 증상이 전신으로 번져나가면서 고생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한포진이 올라온 부위를 계속 만지거나 긁고 각질을 손으로 떼는 행위는 주의해야 합니다.


한포진은 초기 치료가 중요하고, 오래 반복되어 만성이 되면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고 쉽게 재발되므로 가급적 초기에 습진을 진정시키고, 면역력을 높이는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는 일단 감염에 의한 화농을 빨리 치료하셔야 합니다.


한포진이 발생하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는 피부 면역력의 저하입니다.

특히 손발의 기혈순환이 안되어 피부쪽에 기혈이 제대로 전달이 안되거나 정체되어 피부가 약해지면서 건조, 가려움, 수포, 염증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기혈순환이 안 되는 신체 전반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재발과 호전, 악화를 반복하는 상황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개인별 몸 상태를 진찰하여 원활한 기혈순환이 안 되는 원인을 파악하고, 몸 상태를 고양시키면서 피부 면역력을 회복하기 위한 한약을 처방하게 됩니다.

한약은 매일 복용하여 매일 피부를 치료하고 근본적인 면역력을 높여주는 중요한 치료입니다. 더불어 주 1-2회 가량의 내원 하셔서 병변 부위의 피부 염증 증상을 완화 시켜주는 약침, 약뜸, 외용제 도포, 광선치료 등의 외부 치료를 병행하시게 됩니다.

일상에서는 한방 스프레이, 한방 팩, 연고 등으로 자가 치료도 같이 해주셔야 합니다.


평소 물을 많이 사용해서 손이 자주 젖는다면, 고무장갑, 폴리글러브 등을 사용하여 물이 가급적 손에 닿지 않게 해주시고, 손에 수시로 보습을 많이 해주시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한포진은 내부와 외부를 같이 치료하고, 일상에서도 꾸준한 관리와 치료를 병행해야 치료가 용이하며, 치료가 끝난 후에도 재발도 잘 하므로 꾸준하게 관리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한포진이 반복적으로 재발 하신다면, 한의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셔서 만성적인 질환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잘 치료 받으시기 바랍니다.

환자분의 완쾌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3.12.05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