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심한 불면증 치료될까요?(여의도 불면증)
2023.12.30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강민구입니다.
일요일에 특히 심한 불면증으로 인해 질문자님께서 걱정이 많이 되시겠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스트레스, 걱정, 불안이 불면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휴일 이후 다시 평일 출근하는 리듬을 찾는 것에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계신 것 같습니다.
우선 수면 패턴을 회복하고 수면의 질을 높이는 치료와 함께 불안과 긴장을 완화하고 평소의 컨디션을 향상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서적 긴장이 심해지면 질문자님이 밤에 느끼시는 것처럼 두근거림이나 상열감(머리, 얼굴, 상체의 화끈거림), 손발 및 전신에 식은땀이 날 수 있습니다.
호흡기가 선천적으로 약하고, 피부 관련 문제, 복통이나 소화기 문제 역시 질문자님의 체질적인 특성을 파악할 때 중요한 내용이니 한의원 진료 받으실 때에는 꼭 함께 말씀해주셔야 합니다.
불면증은 잠에 들기 어렵거나, 잠에서 자주 깨며, 새벽에 일찍 깨어 수면 부족을 느끼게 되어 낮 동안에는 피로함, 졸음, 의욕 상실 등을 겪는 수면 장애 중 하나입니다.
불면증을 진단하는 중요한 부분은 주간 생활에 불편함이나 손실을 초래하는 정도이며, 주간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일주일에 3회 이상, 총 3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불면증으로 간주되어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준에 보았을 때 질문자님은 전형적인 불면증의 진단 기준에 부족할 수 있지만, 본인이 불편함을 느끼고 계시고, 수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충분히 치료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불면증은 치료하지 않을 경우 학업이나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것이 가장 먼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불면증은 우울증,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질환, 고혈압 등 순환기계 질환, 체중 변화, 피로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불면증의 주된 원인은 급격한 환경 변화, 스트레스 증가, 현대 사회에서의 과도한 업무로 인한 수면 습관 변화, 건강하지 못한 수면 습관 등입니다.
또한, 정상적인 노화 과정으로 인한 수면 구조 변화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불면증은 특정 질병이나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이차성 불면증이라고 부릅니다.
호흡관련 수면장애, 심장 문제, 폐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특정 원인 없이 발생하는 불면증은 일차성 불면증이라고 하며, 이는 뇌가 예민하여 잠들기 어려워하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또한, 불규칙한 생활 습관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으며, 특히 교대 근무자나 야간 근무자들은 불면증을 겪을 위험이 큽니다.
한의학에서는 체질 검사, 심리 검사, 스트레스 검사 등을 통해 원인과 심각성, 동반 증상, 예후를 확인하고 치료합니다.
한의학 치료 방법으로는 한약 복용과 함께 침술, 약침 치료, 뜸 치료, 경근수기 요법, 한방물리요법, 자기조절 훈련, 산소요법 등을 사용합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한약 복용만으로도 치료 가능하며, 호전되면 방문 횟수를 점차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불면증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한약으로는 지실치자시탕, 가미귀비탕, 가미온담탕, 시호가용골모려탕, 산조인탕, 청심보혈탕, 사물안신탕 등이 있습니다.
질문자님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의 불면증 역시 적절한 한의학적 치료를 통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한방치료 기관을 방문하여 상담과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2023.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