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ADHD가 있어서 콘서타를 먹고 있는데, 약물 부작용이 심해서 한의원 치료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대구 구미 초등학생/남 ADHD)

2022.09.27

9살된 아들이 산만해서, 집중도 못하고, 자기말 안들어준다고 욱하는것도 있구요. ADHD 진단을 받고, 콘서타를 먹고 있는데요. 소화도 안되고, 밥을 도통 먹지를 않아서, 한달사이에 2킬로가 빠졌습니다. 억지로 밥을 먹이면 토하고...약먹으면 속이 울렁거린다고 힘들어합니다. 약물 부작용이 심해서, 2주정도 먹고 있지 않는데요. 한의원에서는 ADHD 치료를 어떻게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 #한방신경정신과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김대억입니다.

9살 아이한테 ADHD가 있어서 콘서타를 복용중인데, 약물부작용이 있어, 한의원 치료에 대해문의를 주셨네요.

ADHD 원인은 두뇌의 안와전두엽 기저핵 시상 뇌간등이 관여하여 복합적으로 두뇌의 기능적인 불균형이 초래된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유전적인 요소와 사회환경적인 요소, 심리적인 요소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ADHD검사로는 종합주의력검사와 심리검사 뇌기능검사 자율신경검사 좌우뇌활용검사 인지검사 등이 있습니다. ADHD의 경우 주의집중력 저하 각성도저하 실행기능저하 단기기억력저하 판단력저하 인지반응속도저하 등의 주의력결핍장애와 우울감 무력감 동기저하 충동성 과잉행동 규칙위반행동 공격행동 분노와 발작을 보이는 과잉행동 충동성장애의 증상을 보입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계 약물을 복용한 후 약물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식욕부진, 불면증, 두통, 어지러움, 복통, 구토, 설사, 입마름, 두근거림, 혈압 상승, 환각, 자살 충동 등 다양합니다. 물론 모든 환자에게서 동일한 반응이 나타나는 건 아닙니다. 일부에게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ADHD와 기면증 치료제로 승인된 중추신경계 각성제입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서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합니다.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은 시냅스 사이에서 원래 이전의 신경 쪽으로 재흡수가 되어야 하지만 재흡수가 억제되어 계속 시냅스 사이에 있게 됩니다. 그러면 시냅스에서의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어 다음 신경세포에 계속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통해 중추신경계가 흥분하게 됩니다. 이는 마약류로 분류되어있는 암페타민과 유사하게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의 재흡수를 막는데 더해 생체 내에 직접 도파민 분비를 촉진하여 각성효과를 일으켜 ADHD, 기면증, 비만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지만 암페타민은 정신적 의존성이 강해 우리나라에서는 금지된 약품입니다. 반면, 메틸페니데이트는 정신적인 의존성이 낮다는 차이점이 있어 사용은 되지만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특별관리되는 의약품입니다.

아직까지는 안전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복용중에 임의대로 끊거나, 임의로 복용하는것보다는 신경정신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의원에서도 ADHD를 치료하고 있는데요. ADHD 한의원 치료에 있어서 크게 두가지 면으로 나누어집니다. 미성숙한 두뇌발달을 위해서 한약 침치료 두뇌훈련 등의 두뇌발달 치료가 있으며 환경적인 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성교육과 부모의 훈육법 교육 그리고 심리치료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관리하기위해, 한약치료, 침치료, 약침, 두뇌훈련, 감각통합훈련 등의 두뇌발달을 돕는 치료를 시행하게 되구요.

사회환경적인 요소와 심리적인 요소를 개선하기 위해 ADHD아이를 대하는 부모의 훈육방법의 변화와 사회성교육, 심리치료가 보조적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ADHD 아이들의 생활관리면에서는 두뇌흥분도를 높이는 핸드폰과 TV, 컴퓨터와 같은 시각적자극에 대한 과도한 노출은 피해야합니다.

또한,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공감해주는것이 필요하며, 잘못했을때 혼내는것보다는 잘했을때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합니다.

스트레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학습환경과 생활환경도 변화를 준다면 더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현재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 대한 한의학적 점검이 필요하니, 가까운 ADHD 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점검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힘내세요.


2022.09.27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