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불면증 증상으로 고민이 많아요, 아이들은 보통 잘 잠들지 않나요? (청주 초등학생/남 불면증)

2023.02.14

어린이 불면증 증상에 대해서 문의를 드려요. 아들이 초등학교 5학년인데 수면 패턴이 잘 안잡히고 너무 예민하네요 자다가 깨고 잠도 잘 못들어가고요. 긴장하고 불안한 성향이고 자주 놀라고 그러면서 잘때도 좀 무서워하고 긴장하나 봅니다. 곧잘 수면에 들어가지를 못하고 계속 뒤척이고 그렇습니다. 어릴때는 세상 모르고 잘 잘때인데 왜이리 잠을 못자는지 잠을 이렇게 못자면 키 성장에도 지장을 줘서 안클까봐 걱정입니다.
  • #어린이불면증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변형남입니다.

수면을 취할때에 있어서, 수면과 각성은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반복하는데, 이 일정한 주기를 일주기리듬이라고 합니다.

일주기리듬은 약 24시간으로, 사람은 일주기리듬에 따라 매일 일정한 시간에 잠이 들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일주기리듬은 수면과 각성의 주기 외에도 신체의 기초체온, 호르몬 주기, 그리고 잠의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 등도 조절합니다.

일주기리듬은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시교차상핵에 의해 조절되며, 이는 우리 몸의 생체시계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생체시계의 리듬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녁에 잠이 들고 아침에 잠에서 깨어납니다.

그런데 일부의 사람에서는 생체시계의 셋팅이 일반적인 사회생활에 맞지 않는 일주기리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잠을 자는 저녁에 잠이 오지 않는다거나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는 초저녁에 잠이 들어 새벽에 깨는 등의 증상으로 불면증이나 주간졸림증을 호소합니다.

이러한 수면장애를 ‘일주기리듬 수면장애’라 부릅니다.

흔한 일주기리듬 수면장애로는 전진성 수면위상 증후군과 지연성 수면위상 증후군이 있습니다.

전진성 수면위상 증후군은 초저녁에 잠이 들어 이른 새벽에 깨서 더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는 수면주기를 가진 경우입니다.

반면 지연성 수면 위상증후군은 늦게 잠이 들고 늦게 일어나는 일주기리듬을 가진 경우입니다.

대체로 저녁 늦게까지 잠이 오지 않고 심한 경우에는 새벽 5-6시가 되어서야 잠이 들기도 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아침 일찍 일어나는 것이 무척 힘이 듭니다. 출근이나 등교를 위해 겨우 일어났다 하더라도 학교나 직장에서 졸음으로 쏟아집니다.

특히, 아침시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으며 만성적인 수면부족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지연성 수면위상 증후군은 주로 어린이, 청소년이나 젊은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특히 불면증 및 수면장애가 지속되면 수면 및 각성 조절 기능에 영향을 미쳐서 불안장애, 우울증, 강박증 등 소아정신과 증상을 동반할 수 있어요.

또 잠을 제때 자지 못하거나 수면시간이 짧다면 만성피로나 무기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저녁때 늦게까지 컴퓨터 게임을 하거나 TV를 보거나 하여 빛에 노출이 된 경우에는 잠드는 시간이 더욱 늦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저녁 늦게 컴퓨터와 TV,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는 것을 줄여야 하고, 침실의 빛을 완전히 차단해야 합니다.

불빛에 노출되면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잘 분비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어린이를 포함하여 가족 모두가 일정한 시간에 취침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아침에는 눈이 부실 정도로 빛을 쬐서 생체시계가 잘 켜질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계속 늦게 잠이 들거나 충분히 잤는데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면 병원 및 한의원의 도움을 받으실 필요가 있습니다.

현대한의학적으로 다소 불안정한 뇌신경계 및 자율신경계 기능을 바로잡는 방향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합니다.


2023.02.14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