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중 심박수 올라가는 원인이 뭘까요? (청주 30대중반/여 수면증)

2023.03.31

수면중 심박수 너무 뛰어서 두근거림 올정도로 심하게 심박수가 올라가는데요. 놀라서 깨게 됩니다. 대체 원인이 뭘까요?
  • #한방신경정신과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변형남입니다.

수면중 심박수 올라가는 원인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는군요.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은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 기능 중에서 교감신경이 항진될 때에 발생합니다.

맥박은 수면의 깊은 단계로 접어들면 조금씩 떨어질 수 있고, 뇌가 휴식을 취하면서 안정되어야 하는데, 그게 잘 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수면 중에 수면 리듬과 함께 자율신경계 기능이 제대로 이뤄져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이 불안정해져서 수면 중 심박수가 증가합니다.

이는 아래와 같은 수면 리듬과 관계가 있는데 , 수면 리듬이 신체와 함께 제대로 협응이 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신경계 기능이 불균형이 생겨서 발생합니다.

우리 수면은 4단계로 구성되는데요.

1단계: 수면의 가장 초창기이자 경계적인 단계로, 몸이 이완되면서 졸음 상태로 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눈을 감고 누워있는 상태입니다. 수면이 시작하는 단계이며, 수면이 왔다가 쉽게 깰 수 있는 상태 입니다.

2단계: 1단계에서 더 깊은 수면으로 들어가게 되는 단계입니다. 눈꺼풀이 저절로 내리며, 근육이 이완되기 시작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뇌파가 더욱 느리고, 수면 중 뇌에서 나오는 활동도 감소합니다. 주변의 소음이나 상황에 대해서 거의 의식을 못하는 단계입니다.

3단계: 이 단계는 깊은 수면 단계로, 더욱 느린 뇌파와 함께 깊은 수면 상태에 진입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몸의 대부분의 근육이 이완되어 느낌이 둔해지고, 호흡과 심박수도 더욱 느리게 됩니다

4단계: 수면의 가장 깊은 단계로, 델타파, 즉 아주 느린 뇌파가 나타납니다. 이 단계에서는 몸의 대부분의 근육이 이완되어 거의 움직이지 않습니다.

수면 단계는 주로 뇌파와 근육 활동 등의 생리학적인 지표로 판단됩니다. 일반적으로 1단계부터 4단계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90~120분 주기로 수면 단계를 반복하게 됩니다.

이러한 수면 리듬에 영향을 주어 수면 중 심박수 증가하는 것에는 또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예민한 성향 및 체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증적 성향은 자율신경계 기능에 영향을 주어, 수면중 심박수 증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는 수면의 깊이를 얕게 만들고, 교감신경계를 항진시켜서 수면중 심박수 증가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약물 복용, 카페인 섭취, 악몽 등 불안정한 꿈을 꿨을때, 혹은 여러 신경정신 질환이 심박수 증가에 개입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수면중 심박수 증가하는 원인들을 파악하여, 개개인에 맞춰서 수면의 패턴에 관여하는 뇌신경계 및 자율신경계 기능을 바로 잡아야 할 것입니다.


2023.03.31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