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자꾸 생기는 불안과 긴장 (마포 공황장애)

2024.02.10

마포 30대중반/남 공황장애 어렸을 때부터 긴장하면 확 불안해지면서 얼굴에 열이 나면서 빨개지고, 두근거림, 가슴 답답함, 더부룩함 등의 증상이 같이 나타났습니다. 작년부터 회사에서 상사들에게 무언가를 보고해야할 때 긴장이 되면서 앞에 말한 증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최근에는 긴장할 상황이 전혀 아닐 때에도 긴장할 때 나타나던 증상이 보이기도 합니다. 겨울에는 추울 때는 안과 밖의 기온 차이 때문인지 실내로 들어오면 확 후끈한 느낌을 갑자기 더 받기도 합니다. 업무 특성 상 거의 매일 오후에 상사에게 보고할 일이 있는데 보고 시간이 다가오면 벌써 긴장하는 느낌이 듭니다. 이런 증상이 점점 자주 나타나니까 불편하기도 하고, 점점 걱정이 되어서 치료받고 싶습니다.
  • #공황장애치료
  • #불안긴장
  • #공황장애한의원
  • #마포공황장애
  • #회사공황장애
  • #불안공황장애
  • #긴장공황장애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강민구입니다.


직장에서 종종 나타나는 심리적 긴장과 신체적인 증상으로 인해 질문자님께서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전형적인 공황장애 증상과 같다고 볼 순 없지만, 질문자님의 증상은 공황장애와 원인과 증상 양상에 유사한 부분이 있습니다.

한의학적으로는 공황장애를 어떻게 바라보고 치료하는 지 설명해드릴테니, 참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공황장애는 불안, 긴장할 때 두근거림이나 가슴 답답, 호흡곤란을 주증상으로 하며 나타나곤 합니다.

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 없이 예상치 못하게 나타나는 극단적인 불안 증상, 즉 공황발작이 특징인 질환으로 이러한 공황발작은 특별히 위협을 느낄만한 상황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신체의 경보 체계가 오작동을 일으키며 위협을 느끼는 상황에서와 같은 반응을 일으키는 병적인 증상입니다.


공황발작의 정도나 빈도는 다양한데 하루에 수차례 발생할 수도 있고 한 달에 1회 이하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현기증, 상열감, 두근거림, 손발 저림 등은 공황발작 시에 나타나는 일종의 신체 증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울장애 같은 타 정신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한데, 이러한 경우 타 질환이 전반적인 경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우울증이나 불안, 불면 등 다른 증상이나 질환은 없는지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죠.


공황발작은 갑작스럽게 가슴 두근거림, 식은땀, 숨이 막히는 느낌, 어지럽고 쓰러질 것 같은 느낌, 가슴에 통증이나 불편감, 죽을 것 같은 공포, 미쳐버릴 것 같은 두려움 등의 증상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앞으로 발작이 나타날 것에 대해 걱정하거나 공황발작과 관련된 행동의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증상이 발생하면 보통 10분 안에 증상의 정도가 최고조에 이릅니다.

주요한 정신 증상은 극도의 공포와 죽음에 이를 것 같은 절박한 느낌입니다.

보통 환자들은 이런 공포의 원인을 알지 못하고 혼돈스러워하고 집중력이 떨어집니다.


빈맥, 심계항진, 호흡곤란, 발한과 같은 자율신경계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개 발작은 20~30분 지속되고 1시간을 넘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예기 불안이 또 다른 주요 증상인데 한 번 발작을 경험하게 되면 다음 발작이 있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에 불안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질문자님께서도 이전에 경험했던 증상을 일하면서 또 겪으실까봐 미리 걱정하게 된다고 하셨는데요.

이러한 불안감 때문에 공황장애 환자들은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장소나 상황을 미리 피하게 됩니다.

그래서 많은 환자들이 지하철, 버스, 엘리베이터 같은 밀폐된 공간이나 번잡한 거리와 같은 곳에 가기를 꺼리게 됩니다.


공황장애는 어느 하나의 원인에 의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신경생물학적 원인 그리고 유전적, 심리사회적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대부분의 공황장애 환자들이 처음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심한 스트레스를 겪고 스트레스가 심해질 경우 증상이 재발,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기에 스트레스가 공황장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환자들 중 40~80%가 우울증을 겪게 되며, 계속된 불안감을 달래기 위해 술 혹은 약물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심장과 호흡문제와 관련된 신체증상이 공황발작시 환자가 가장 걱정하는 문제이며, 자신이 곧 죽을 것이라는 생각에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의원에서는 공황장애의 원인과 심한 정도, 동반문제, 예후 등을 판별하기 위해 체질검사, 심리검사, 평가척도검사, 뇌기능검사, 체성분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이후 검사결과에 따라 적합한 치료방법과 치료기간이 결정됩니다.


구체적인 치료방법은 한약을 복용하면서 주 1~2회 방문하여 침뜸치료, 약침치료, 전침치료, 경추교정 추나요법, 한방물리요법, 자기조절훈련, 감정자유기법(EFT) 등을 병행합니다.

공황장애 환자들에게는 갈근금련탕, 영계감조탕, 시호가용골모려탕, 계지감초용골모려탕 등의 처방을 주로 활용합니다.


한의학적인 공황장애 치료방법은 환자 스스로 자신의 감정과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치료는 졸리고 살이 찌고 머리가 멍해지는 부작용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치료를 중단하였을 때 증상이 다시 심해지는 반동현상도 훨씬 적어서 안정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있습니다.


환자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치료 방법과 예후 등이 달라지므로 직접 인근 한의원을 내원하시어 진료받아 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2024.02.10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