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식도염과 불안장애 치료(일산 역류성식도염)

2024.02.25

일산 40대중반/여 역류성식도염 8년전 가슴압박, 흉부통증, 상체 열감이 반복되어 불안증세가 심해져서 일상생활이 힘들었어요. 이후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받고 치료 후 불안감도 많이 나아졌는데 작년부터 다시 상체쪽으로 열감이 나타나고 흉부통증이 심해서 너무 괴롭네요 이것 때문에 마음이 불안하고 우울해지네요... 작년 12월에 위내시경을 했는데 병원 내시경에 별 이상은 없다고 합니다 현재는 식사를 하고 나면 1-2시간 후부터 왼쪽 가슴이 타들어가는 느낌이 들고 조금 줄어들면 왼쪽 가슴이 아리는 느낌이 하루 종일 지속됩니다. 그러면서 가슴과 얼굴쪽으로 열이 올라오고 콕콕 찌르는 느낌, 뻐근한 느낌의 가슴통증도 있어요. 그리고 항상 목이 칼칼하고 걸려 있는 느낌이 있어서 일부러 헛기침을 자주 해요...
  • #불안장애
  • #매핵기
  • #한방신경정신과
  • #역류성식도염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위영만입니다.


역류성 식도염과 그로 인한 불안 증상으로 문의를 주셨군요.


역류성 식도염은 위(胃)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경우는 위식도의 경계 부위가 닫혀 있어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는데, 만약 위식도의 조절 기능이 약화되어 경계 부위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으면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 상담자 분이 호소하듯이 가슴쓰림, 가슴답답함, 속쓰림, 신트림, 목의 이물감, 목 쓰림, 목소리 변화, 가슴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한의학에서는 역류성 식도염을 탄산(呑酸)과 토산(吐酸)이라고 합니다. 탄산은 위(胃)의 신물이 목구멍까지 올라왔다가 내려가는 것을 말하고, 토산은 신물이 목구멍에 올라왔다가 내려가지 않고 토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 원인은 간의 담화(痰火)와 위의 습열(濕熱)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기는데, 간의 담화는 주로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고, 위의 습열은 과식이나 자극적인 음식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즉 한의학에서는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이 정신적 스트레스와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그러므로 치료에 있어서 처음에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치료가 필요하지만, 결국은 근본적으로는 불안 우울과 같은 정신적인 문제를 다스리고, 이와 함께 식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02.25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