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으로 ADHD약 계속 복용(양주시 ADHD)
2025.03.17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김헌입니다.
환자분께서 ADHD 증상과 약물 부작용으로 많이 걱정되실 것 같습니다. ADHD의 원인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주의집중을 유지하는 기능을 조율하는 뇌 영역의 성장이 미숙’한 것입니다. 이미 성인 ADHD로 진단을 받으시고 약물 치료를 하고 계신데요. 효과 대비 우려되는 부작용 문제들로 문의를 주셨습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ADHD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약물인데요. 식욕부진, 두통, 불면증, 입마름 등은 흔한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 ADHD의 다양한 증상들은 대부분 전두엽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합니다. 성인 ADHD는 주의력 결핍 외에도 불같은 성격, 경솔함, 인내력부족 등으로 오해받습니다. 성인의 2.5%가 통제 기능, 실행 기능이 저하된 전형적인 ADHD 성향을 보인다고 합니다. 만약 성인 ADHD 증상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점차 자존감과 사회적 기술이 떨어지고 감정기복이 심해지며, 매사에 부정적, 적대적, 공격적인 성향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불안장애나 우울증, 중독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임상에서 보면 무엇보다도 실제 주의집중력 자체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불안이나 우울 등의 정서적인 불안정성이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주어 ADHD처럼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에 감별이 필요합니다. 또한 ADHD가 맞더라도 잠재된 불안이나 우울이 있다면, 주의집중력이나 충동조절에 부정적 영향을 증가시켜서 ADHD의 증상을 더욱 심하게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예후에 좋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들은 모두 불안이나 우울에 관련된 치료까지 고려해야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성인 ADHD의 한방치료는 환자의 체질을 개선하고 뇌의 균형을 되찾아서, 뇌 스스로 자신의 행동과 주의집중력을 통제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한의원에서는 환자의 장부기혈(臟腑氣血) 상태를 확인하는 한의학적 진찰법인 망문문절(望聞問切) 사진법(四診法)과 함께 ADHD의 원인, 심한 정도, 동반문제, 예후 등을 판별하기 위해, 증상평가척도를 작성하고, 심리검사, 주의력검사(또는 신경인지검사), 뇌기능검사(정량뇌파검사), 자율신경균형검사(스트레스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구체적인 치료 방법은 환자의 체질을 개선하고 ADHD 증상을 호전시키는 한약을 복용하면서, 침뜸치료, 약침치료, 전침치료, 추나요법, 향기요법, 부항요법, 한방물리치료 등을 적절히 병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ADHD의 한방 치료와 양방 치료는 접근법이 다르지만, 그렇다고 서로 상충되지는 않습니다. 환자에 따라서는 서로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효과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기 때문에 한양방 병행치료는 얼마든지 고려할 수 있습니다. 부디 가까운 한의원에서 상담받아보시길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