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의심..(대전 ADHD)

2025.03.22

대전 초등학생/남 ADHD 아이가 산만함이 심해서 ADHD의심중이에요.. 행동이 산만하고 말할때도 두서없이 동작이 과하고 무슨말을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자기말을 이해하지못하면 지나치게 화를내거나 좌절감을 느끼기도 하구요 여러가지 특징이 ADHD같은데.. 아니면 그저 성격이나 기질이 그런건지 확신이 없네요 초등ADHD면 보통 약물치료하죠?
  • #한방신경정신과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이원우입니다.


자녀분때문에 걱정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ADHD아동들은 주의집중력저하, 판단력저하, 과잉행동 등의 증상을 보이며 이와같은 증상들은 두뇌기능의 불균형 또는 사회/유전적 요인의 복합작용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작성해주신 글로 볼때 ADHD가 의심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만, 정확한 ADHD여부는 전문적인 상담과 함께 검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린이 ADHD의 특징으로는 주의집중력이 쉽게 저하되고, 한곳에 오래 앉아있지 못하고, 감정조절을 못해 짜증을 내기도하고, 외부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지고, 끊임없이 활동하거나 쫓기는 사람처럼 행동하고, 지나치게 수다스럽다거나, 질문이 끝나기도 전에 대답을 하기도하고, 차례를 기다리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간섭하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그러나 위와같은 과잉행동, 충동우세형 ADHD와 달리 주의력 결핍 우세형인 조용한 ADHD도 있기 때문에 증상에 대한 상담과 그에 맞는 치료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ADHD는 단순히 혼내거나 책상에 오래 앉아있게 한다고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며, 에너지가 많고 활동적인 성격으로 생각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학습과 생활 등 여러방면에서 부차적인 문제가 발생하거나 성인ADHD로 이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체계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한방에서의 ADHD치료는 뇌기능상 불균형을 균형잡히게 만들어 두뇌발달을 돕는 방향으로 진행됩니다.


즉, 아이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인데, 이는 치료가 종결되어도 쉽게 재발하지 않는것을 목표로 합니다.


약물을 이용해 순간적으로 증상을 억제시키는 것이 아니라 변증에 맞춰 뇌기능의 과항진과 민감도를 조절하여 근본적인 치료를 통해 뇌기능을 정상화 시키고자 하는것입니다.


내원하시면 우선 뇌기능검사와 학습인지검사, 종합주의력검사, 설문작성과 진찰등을 통해 아이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되고 증상과 정도를 파악한뒤 그에 따른 맞춤한약, 침, 약침 등으로 치료가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두뇌훈련, 감각통합훈련 그리고 상담을 병행합니다.


ADHD아이들을 통제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지만 부모님과 가족분들이 가정내에서 인내심과 관심을 갖고 지도해주시는 것 또한 치료과정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ADHD는 꾸준히 치료받으면 충분히 호전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전문적인 치료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5.03.22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