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농증 한약으로 치료하면 효과있나요? (평택 안성 축농증)

2025.06.11

평택 안성 30대후반/남 축농증 평소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어서 항상 코는 막히는 편인데, 요즘은 두통이 심하고 머리가 띵해요. 특히 오후쯤 되면 집중이 안 되고, 콧물도 묽은 게 아니라 끈적하게 나와요. 병원에서는 비염이 축농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데, 진짜 그런가요? 둘이 완전히 다른 병인 줄 알았는데 헷갈립니다. 약 먹어도 소용없고, 스테로이드 스프레이도 쓰는데 증상이 그대로예요. 이럴 땐 비염 치료를 더 강화해야 하는 건지, 축농증 치료로 방향을 바꿔야 하는 건지 고민돼요. 어떻게 구분해야 하나요?
  • #한방안과이비인후과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유태모입니다.


비염과 축농증은 서로 다른 질환이지만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비염은 주로 점막의 과민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며, 염증이 반복되거나 오래 지속될 경우 부비동으로 번져 축농증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콧물의 성상이나 두통, 안면압통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단순한 점막 부종을 넘어 부비동 내 염증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이 두 질환을 각각 독립적으로 보지 않고, 면역력 저하, 순환 정체, 점막 기능 저하라는 공통된 배경을 바탕으로 판단합니다. 즉, 비염이 축농증으로 악화되는 경우는 외부 자극에 대한 과민 반응뿐 아니라 내부 기능의 약화가 동반된 상태로 보고, 단순하게 항염 또는 점막 수축에 의존하지 않고 몸 전체의 균형을 되찾는 치료를 중심으로 합니다.


한약은 알레르기 반응을 줄이면서 동시에 부비동 내부의 점액 순환을 원활히 하여 끈적한 콧물의 배출을 도우며, 반복되는 염증으로 약해진 점막을 재생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코 주변 압박감이나 두통을 동반하는 경우, 침 치료로 경혈을 자극하여 머리의 무거움을 덜고 부비동의 압력을 완화시키는 방법도 병행합니다.


약과 스테로이드에 반응이 없다는 것은 지금 증상이 표면보다 깊은 곳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단순 비염 치료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으므로, 현재 상태가 축농증에 가까운지를 판단하고 체질과 증상에 맞춘 맞춤 치료로 접근하는 것이 회복에 더 도움이 됩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가까운 한의의료기관에 방문하셔서 진료받으시길 권장 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5.06.11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