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30대/남 공황장애, 공황장애 원인 뭔가요?

2024.10.23

별다른 일이 없었는데, 갑자기 가슴이 너무 빨리 뛰고, 가슴이 답답해지고, 숨도 잘 안쉬어지는게, 이러다 무슨일 생길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서, 어지럽구요. 너무 불안해지고 식은땀도 나네요. 이런게 공황장애 맞죠? 공황장애 원인이 뭔가요? 치료하면 나을 수 있는거죠?
  • #한방신경정신과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김대억입니다.


몸에 이상증상이 있어서, 공황장애가 아닌지, 공황장애 원인은 무엇인지 문의하셨네요.


부교감신경은 교감신경과 함께 신체를 구성하는 여러 장기와 조직의 기능을 조절합니다.


교감신경은 공포와 분노, 긴장을 했을 때처럼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고 반응하는데, 동맥이 확장되면서 심장박동수가 증가합니다.


이때 피부와 소화관의 동맥은 수축하면서 혈액이 뇌와 심장, 근육으로 집중됩니다.


반면 부교감신경은 심장박동수는 떨어지면서 혈압이 낮아지고 소화관의 연동운동은 촉진됩니다.


온몸에 힘을 빼 편안하게 만드는 등 신체 에너지를 절약하고 저장하는 작용을 합니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상호작용을 하는데요.


한 쪽이 너무 흥분하면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른 한쪽도 활성화됩니다.


이렇게 두 신경이 피드백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공황발작이 일어나고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면서 공황장애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공황장애 증상은 갑작스런 발작으로 가슴답답, 호흡곤란, 심장두근, 마비감,


어지러움, 쓰러질것 같은 두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발작은 30분 내로 가라앉지만 평소에도 증상이 다시 나타날까 불안감을 느끼며


일상 생활에 유의미한 고통이 따르는 질환입니다.


공황장애는 두뇌기능의 불균형으로 외부자극에 대한 대처능력이 떨어지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두뇌의 불균형 상황을 초래하는 원인은 유전, 호르몬시스템의 이상,


과로, 과도한 음주, 흡연, 카페인 섭취, 충격적인 사건, 지속되는 스트레스 등이 있으며


직업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영향을 줬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공황장애는 뇌간, 변연계, 전전두엽 등의 뇌신경계의 이상과 관련되어 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증상이 발생하고,


긴장과 스트레스, 피로에 의해서 증폭됩니다.


이처럼 여러인자들에 의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이 깨어졌을때,


한의학에서는 두뇌기능의 불균형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접근합니다.


외부자극에 대한 대처능력을 길러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지금처럼 불안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이러다 말겠지' 넘어갈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상황이 오래 반복 되면서 증상이 서서히 사라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 증상에서 치료와 더불어 악화 원인들을 관리해주어야하는데요.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취미생활, 금주, 금연, 카페인 피하기 등의 생활관리를 병행하여 건강을 회복하고 안정적인 상황을 오래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생활관리만으로 회복되지 않는다면,


공황장애 증상을 다루는 한의원이나 병원에 내원해서,


진료받으시고, 치료받으셔서 빨리 회복하시길 권해드립니다.

2024.10.23

채널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