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를 안해요. 6개월째 생리가 없습니다. 저 괜찮을까요? (도곡동 30대초반/여 무월경)
2022.03.31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지은혜입니다.
많은 여성들의 경우, 스트레스나 과로 등의 이유로 인해 생리를 하지 않거나 생리주기나 양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생리가 규칙적이지 않은 상태를 생리불순 혹은 월경불순이라고 부르는데요.
말그대로생리주기가 불규칙한 것을 말하는데, 기준이 있습니다.
생리 주기는 평균 28일로 21~35일까지는 정상 범주에 해당됩니다.
생리불순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생리 시작일과 다음 시작일 사이의 간격이 21일보다 짧은 빈발 월경, 간격이 35일 이상으로 길어진 희발월경으로 봅니다.
이러한 이상 증상이 어쩌다가 한 번 나타나는 것은 건강을 크게 위협할 정도로 위험한 상태가 아니기에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증상이 너무 오래 지속되거나 지나치게 여러번 반복이 될 때입니다.
일반적으로 무월경이라는 것은 평소 생리 주기의 3배 이상 혹은 6개월 이상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생리가 없을 때를 의미하는데요.
질문자님의 경우에는 6개월 이상 생리불순이 있으셨기 때문에 몸 상태에 대한 확인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무월경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습관, 다이어트 혹은 체중증가로 인한 급격한 체중변화, 수면부족 등의 원인과 자궁질환, 내분비기능장애 등으로 유발될 수 있습니다.
구조적인 문제가 없는 무월경 생리불순은 호르몬 불균형과 자궁과 난소의 혈류순환장애와 생식기능저하를 동반하게 됩니다.
만약 몇 개월씩 생리가 미뤄지거나 무월경에 가까운 상태를 보인다면, 즉시 일반적인 원인 외의 다른 원인을 찾아봐야 합니다.
특히 생리불순 증상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생리를 하지 않는 무월경 증상은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는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초음파상으로 자궁과 난소를 관찰했을 때, 난소쪽에서 100여 개의 작은 난포가 염주모양으로 난소 가장자리에 퍼져 있는 것이 관찰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다낭성난소증후군은 배란이 잘 안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성들의 여성호르몬이 원활하게 분비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때문에 무월경, 불임, 기능성 자궁출혈 등 다양한 증상을 겪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가벼운 월경불순에서부터 다낭성난소증후군 같은 질환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몸상태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그냥 두지 마시고, 꼭 몸을 확인하시고 제대로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상태에 맞는 맞춤치료가 요구되는데, 여성의 신체구조를 잘 이해한 상태로 세심하게 이뤄져야 부작용과 재발이 없는 치료에 보탬이 될 수 있습니다.
한의원에서는 무월경 생리불순 원인을 찾고 울체된 대사기능을 개선하고, 약해진 장부기운을 북돋아 신체 기능을 회복해 나가면서 다시 배란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무월경의 치료는 생리만 정상적으로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난소가 배란기능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합니다.
그래서, 피임약없이, 자연적으로 난소가 배란할 수 있는 기능을 회복하면서, 정상적인 자연생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표로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입니다.
한의학적으로는 무월경을 치료하기 위해 생리에 관련된 호르몬 대사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개개인의 생리불순의 원인과 동반된 증상들에 대한 변증을 통해 침, 뜸, 한약치료 등을 하고 있으며, 보통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꾸준히 치료하게 되며, 대체로 정상 생리가 3주기 이상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면 치료를 종결하게 됩니다.
한방치료는 인체의 약한 기능을 보완하고 보충해준다는 관점으로 오랜세월 연구해온 학문이기 때문에 생리불순을 비롯한 생식기능저하를 동반한 질환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장점이 있습니다.
무월경 생리불순은 단순하게 생리의 주기가 늦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난소기능저하와 난임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적극적인 대응을 해주는 것이 좋으며, 치료시기를 놓치지 마시고 하루 빨리 무월경에서 벗어나시길 바라겠습니다.
2022.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