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30대초반/남 두피모낭염, 오래전부터 두피에 모낭염이 있는데 아프기도 하고 탈모도 생깁니다.

2020.06.23

사실 모낭염이 거의 10년은 된거같은데 일단은 너무 불편한데 머리 감을때 아파요 어떨때는 머리가 좀 더 많이 빠지는거 같은데 머리카락이 이제는 안나는 부분도 있는거같습니다...탈모일까요? 진짜 우울하네요. 이제는 약먹어도 소용도 없는거 같습니다. 한방치료는 좀 차도가 있을까요?
  • #모낭염
  • #두피염
  • #두피모낭염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한유리입니다.

통증과 탈모증상을 동반한 만성 두피 모낭염이 고민이시군요.

그동안은 항생제 복용 위주로 치료를 하신듯 합니다.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한방치료로 두피 모낭염 치료가 가능합니다.

일단, 현재의 두피 모낭염이라는 질환에 대해 이해부터 하고 계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모낭염이란 모낭, 즉 털이 나는 모공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모든 모낭염은 원인이 수 만가지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열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중 두피모낭염은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순환장애가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두피모낭염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대개 두피에 과도한 유분과 지저분한 각질이 관찰되며 각질은 주로 모낭염이 발생한 두피 부위에서 집중적이고 두껍게 관찰됩니다.

염증으로 인해 갈라진 두피는 피부를 더욱 예민하게 만들고 이는 결과적으로 염증을 더욱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피모낭염은 얼굴 여드름이나 모낭염과는 달리 머리카락에 가려져 있어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더라도 타인에게 일단 눈에 띄지 않기때문에 치료를 차일피일 미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두피모낭염의 원인 또는 결과로 나타나는 열악한 두피 환경은 심할 경우 탈모까지 진행된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인 원형탈모와는 달리 두피모낭염은 지루성두피라는 열악한 두피환경이 동반되므로 치료 또한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두피 모낭염은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 두가지 모두 중요합니다.

흙이 두텁지 못하면 새싹의 뿌리가 잘 자리잡지 못하고 불순물을 스스로 자정하지 못하듯 두피모낭염 또한 두피가 긴장되어 있으면 자정력을 잃게 되며, 열이 계속 오르면 두피가 쉬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두피로 오르는 열을 식혀주는 한약을 체질에 맞게 조제해 투여하고 두피의 긴장을 일으키는 뒷목의 근육을 침이나 부항 등을 이용해 풀어주면 좋습니다.

두피모낭염의 치료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관리입니다.

대개 모낭염은 세균의 침범에 의한 것이므로 세균 감염의 원인을 파악하고 차단하기 위해 치료를 시작하기 전 두피에 사용하는 제품들을 꼼꼼히 살펴 위생적인 문제는 없는지 본인의 피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작정 두피에 청량감을 주는 일반샴푸는 일시적으로 시원함을 줄 수는 있지만 두피를 자극할 수 있으며, 손끝으로 가려움을 해소하려는듯 긁는 식의 샴푸법은 두피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유분을 잘 제거하되 두피에 자극이 없는 전용제품을 두피 타입에 맞게 선택하고 두피 모낭이 과도한 피지를 만들어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 저것 많은 제품을 써 보았으나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 어쩌면 과도한 제품 사용이 두피를 피로하게 만든 것일 수도 있으므로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미지근한 물로만 머리를 감아보는 것도 두피의 자생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머리를 감는 시간은 아침 보다는 저녁이 위생적으로 더 좋으나 아침 기상후에 머리가 엉클어지는 이유 때문에 아침에 감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이 경우 저녁에 전용제품으로 감아주고 다음 날 아침엔 미지근한 물로 머리 전체를 헹궈주는 것이 좋습니다.

두피모낭염이 있는 환자들이 예전에 비해 많아진 것이 사실입니다.

스트레스와 음주, 늦은 취침 등이 주된 원인이 되며 시일이 경과해 두피가 손으로 만졌을 때 딱딱해져 있거나 어깨가 뭉치고 뻣뻣한 편이라면 아마도 단순한 관리로는 호전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정확한 관리와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탈모까지 진행되면 회복하는데 반년 이상이 소요되므로 위와 같은 경우에 해당된다면 하루빨리 병원을 찾는것이 바람직합니다.


2020.06.23

채널톡